어떡하죠, 마흔입니다 - 흔들리지 않는 삶을 위한 마음철학 수업
키어런 세티야 지음, 김광수 옮김 / 와이즈베리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돌이켜보면 내가 마흔이었을 때, 인생의 가장 큰 산을 넘고 있었다.
다니던 직장은 원치않은 사표를 내야할 처지에 있었고 살고 있던 근거지를 떠나 어디론가
다시 정착해야하는 기로에 서있었다. 하룻밤에도 머리카락이 셀 수 있다는 것을 경험했다.
앞선 시간도 결코 만만치 않았는데 이어질 미래에 대해서도 자신이 없었다.
그런 시간이어서 그랬을까. 다시 마흔으로 돌아가겠냐고 물으면 난 가지 않겠다고 답할 것 같다.
공자님은 나이 마흔에 이르러서야 겨우 미혹되지 않은 상태가 되었다고 했는데 백수시대가 되어
그런걸까. 나의 마흔은 여전히 불안했고 고단했으며 어떤 경계선에 서있었다는 느낌이었다.
과연 마흔이라는 숫자가 주는 무게는 어느만큼인지 알고 싶어졌다.


 


표지속 컵의 물을 보면서 과연 절반이라는 무게가 안정감을 느끼고 있는 것인지 아님 여전히 채워지지 않은 공허함이 느껴지는지는 각자 다를 것 같다.
저자인 키어런 세티야는 철학교수로 마흔이라는 정의를 철학적으로 풀어놓았다.


 


수많은 철학자들 역시 중년의 위기에 대해 많은 생각들을 했던 것 같다.
철학적으로 완벽하고자 했던 사람들에게 닥친 중년의 위기는 인간적으로 어떤 느낌이었을까.
결국 누구도 세월, 혹은 늙어가는 자신의 모습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었을 것이다.


 


어린시절은 부모의 힘으로 살았을 것이고 젊은 시절에는 말 그대로 청춘의 힘으로 버텼을 것이다.
하지만 어느 순간 인생의 중반에 다다랐을 때의 그 황망함은 누구라도 비켜가기 어렵다.
아직 해야할 일도 많고 나를 기대고 있는 사람도 일도 많은데 나는 시간이 없는 것도 같고 자신감은 점점 떨어지고 있는 현실을 깨닫는 순간, 당황을 넘어서 절망을 경험하지 않을까.

 


저자는 이런 황망함을 느끼는 순간들을 잘도 끄집어낸다.
분명 내가 선택했던 수많은 길들에 대한 아쉬움, 가지 못한 길에 대한 후회, 이미 걸어왔지만
이루지 못한 것들에 대한 죄책감.
두고온 그 모든 것들에 대해 과연 우리는 어떻게 해야하는 걸까.
'과거의 시간들은 더 이상 바꿀 수 없다는 것을, 그리고 두 번의 기회는 없다는 것을 받아들여라'



그리고 마흔 즈음에 유독 죽음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게 된다.
일단 내 부모를 포함해서 주변의 지인들이나 지인들의 부모들의 죽음을 지켜보는 일이 잦아지게
되기 때문일 것이다. 영원할 것 같은 시간들이 언젠가 끝날 수도 있음을 인정해야 하는 것이다.
저자의 말처럼 불멸이 과연 바람직할 것인가를 생각해보자.
인기리에 막을 내린 드라마 '도깨비'에서는 900년을 넘게 살아온 주인공의 인생이 결코 행복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사랑하는 사람들의 죽음을 900년간 지켜보면서 오히려 '멸'하고자 하는 마음.
그렇게 대입해보면 지금 이 늙어감의 시간이 행복할 수도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지금까지 어떻게 살아왔느냐가 아니라 지금 이 순간과 앞으로의
시간들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를 말한다.
과거에 사로잡혀 미래를 무너뜨릴 수는 없다.
내가 좋아하는 친구는 그렇게 말했다. 지나온 시간들이 너무 허술하고 불완전해서 난 지금 이렇게 늙어서 편안을 얻은 이 시간이 소중하다. 그래서 다시 젊음의 시간으로 돌아가고 싶지 않다.
그렇다. 오늘은 나의 남은 시간중 가장 젊은 날이므로 마흔이라고, 중년이라고 절망하지 않으련다.  철학과 중년의 위기를 조화롭게 버무려내는 철학자의 인생레시피가 꽤 멋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