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를 읽으면 사람이 보인다 - 이한우의 지인지감 知人之鑑
이한우 지음 / 해냄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교를 중심사상으로 움직이던 조선이나 중국에서 보면 논어는 경전에 가까운 책이다.
하지만 현대에서 논어는 아주 어려운 책으로 인식되어진다. 한자를 모르는 세대에서는
아예 접근하기를 꺼려할 정도이다. 하지만 고전의 존재는 시대와 상관없이 지혜를 전한다.
비록 어려운 고전이지만 시대를 거슬러 반드시 읽어야할 책으로 알고있지만 막상 접근하려고
하면 망설여지곤 했다. 저자 역시 한학자에게 논어를 배우기 위해 6개월을 노력했지만 결국
포기했다고 한다. 그래서일까. 그가 전하는 논어는 우선 읽기 편하다. 다가가기가 쉬웠다는 뜻이다.


저자가 전하는 논어를 이해하게 되면 세상의 이치가 보이고 사람이 보인다고 하는데 여기에서
말하는 사람이 보인다는 뜻은 관상학적이 아니라 상대의 심리를 꿰뚫고 지피지기한다는 뜻이다.
우선 논어가 전하는 의미를 알기위해 저자는 중국과 우리의 역사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대비하여 잘 풀어놓았다.

조선의 명군이라 평가받았던 세종은 아버지 태종대에서부터 병조판서를 맡아 병권을 쥐었던
조말생을 정승으로 삼지 않았다. 그 이유는 논어 학이 편에 있다.
'아버지가 돌아가신 경우에는 그 행실을 깊이 살펴보아 3년이 지나도록 아버지의 뜻을 조금도
잊지않고 따른다면 그것은 효라고 이를만하다'
세종은 태종이 세상을 떠나고 4년이 지나도록 아버지의 뜻을 따랐던 것이다.
결국 조말생은 뇌물죄로 낙향하고 마는데 세종은 그가 너무 오랫동안 권력을 쥐고 있었고
반드시 사사로운 행실을 행사한다고 의심하고 있었던 것이다.


역사를 보면 나라를 팔아먹은 간신배가 수도 없이 많다.  리더가 미리 알았더라면 역사는 분명
달라졌을 것이다. 하지만 사람이란 쓴 소리보다 단 소리에 더 귀를 기울이는 법이다.
논어에서는 바로 이런 점을 경고하고 있다.


'볼 때는 밝음을 먼저 생각하고 들을 때는 귀 밝음을 먼저 생각하고 얼굴빛은 온화함을 먼저
생각하며 몸가짐을 할 때는 공손함을 먼저 생각하며 말 할 때는  진실함을 먼저 생각하라...'
들을 수록 절로 고개가 끄덕여지는 말이다.
공자가 전하는 지인지감의 첫단계는 시(視)이고, 두번 째가 관(觀)이며, 세번 째가 찰(察)이다.
즉 보고 관찰하고 분별하라는 뜻이다.
황희와 김종서의 일화가 바로 그 것을 증명하고 있다. 김종서가 당대의 명판서이긴 하지만
그의 기운이 너무 굳세고 날래어 일을 과감하게 하는지라 후에 신중함을 잃을 것을 염려한
황희가 큰 호통을 한 적이 많았다. 결국 황희의 염려대로 정승에 올랐지만 수양대군에 의해
제명에 죽지 못했다. 당시 황희의 시(視)가 옳았던 것이다.

이처럼 논어는 수많은 인물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무구한 세월이 흐른 지금까지도
읽혀져야 하는 이유가 많다.
'사람을 알아보는 거울'이 있다면 인간관계에 실패는 없다.
바로 이 논어를 쉽게 해석한 책이 거울이 될 수도 있다는 뜻이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 함은 바로 사람을 제대로 해석하고 볼 줄 알아야 실패가 없다는 뜻이니
거울처럼 비춰주는 논어를 다시 들여다봐야 할 이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