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로이트의 의자 - 숨겨진 나와 마주하는 정신분석 이야기
정도언 지음 / 인플루엔셜(주) / 201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마음이 움직이지 않으면 아무 것도 변하지 않는다’ 라는 말은 그 나름의 가치를 가지고있는 말이다. 말 그대로 내 마음의 변화가 이뤄지게 만드는 어떤 계기, 어떤 이유를 알아내는 그런 시간이 모두에게는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프로이트’는 굳이 심리학을 공부한 사람이 아니어도 누구나 이름을 알 수 있는 심리학자다. 정신분석학의 대명사로 여겨지는데 관심이 많아 책을 많이 읽어보았지만 그래도 알아볼 것이 남아있는 그런 학자다. 이 책의 작가인 정도언 박사는 프로이트가 창립한 국제 정신분석학회가 공인한 정신 분석가이자 정신과 전문의로 대한민국 최고 명의로 꼽힌단다.
이 책의 내용은 숨겨진 나를 들여다보기, 무의식의 상처 이해하기, 시기심과 질투, 타인을 찾아 끝없이 방황하는 무의식, 무의식을 대하는 다섯 가지 기본 치유법들로 나눠서 적어 두고 있다. 무의식의 상처를 이해하기에서는 불안과 공포, 우울, 분노, 좌절, 망설임과 열등감 들을 정리해 두고 있다. 사람은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것을 어려워한다. 나도 마찬가지다. 새로운 일을 앞두고는 불안하기도 하고 우울해지기도 하고 열등감이 들기도 한다. 저자는 무슨 일이든 도망간다고 피할 수는 없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망설인다는 것은 움직이지 않고 제자리에 있는 것이라고 하는데 그 말이 딱 맞다 는 생각이 든다. 요즘 ‘결정 장애’라는 말이 유행처럼 돌고 있는데 둘 중 한 가지 여러 가지 중 한 가지를 결정하려고 할 때 사람들은 쉽사리 결정을 하지 못하고 나중에는 괴로워까지 하게 된다. 그렇게 많은 좋은 것들 중에서 한 가지를 결정한다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한 가지를 결정하고 나면 남은 다른 좋은 것이 없어져 버릴 것 같은 생각이 드는 건 모든 사람이 생각하고 있는 딜레마가 아닐까?
무의식을 대하는 다섯 가지 기본 치유법들 중에 ‘스스로에게까지 거짓말하지 말자’는 항목을 만들어 두었다. 다른 사람의 이목을 생각하고 남들이 원하는 나를 나의 본 모습으로 생각하고 속이며 살아간다. 스스로에게 계속 거짓말을 해 나가는 동안 나도 믿게 된다. 하지만 자신을 치장하고 속여 봐야 아무것도 제대로 되는 것은 없다. 책의 뒷부분에 부록으로 ‘정신분석가와의 대화’라는 내용을 넣어두고 정도언 작가와의 질문과 답을 올려두어 읽게 해 두었다. 정말 말투도 대화하는 것처럼 만들어 둬 재미도 있고 내가 궁금한 부분을 꼭 짚어서 답해주고 있어 옆에서 조언을 해 주는 것처럼 도움이 되었다. 내 마음을 내가 들여다 볼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