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연 그대로의 자연 - 우리에게는 왜 야생이 필요한가
엔리크 살라 지음, 양병찬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6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이 책은 표지부터 눈길이 갔다. ‘자연’이라는 말도 오랜만에 보는 느낌이 들었다. 자연보호는 어릴 때부터 들어온 말이지만 이 책을 읽다 보니 이제는 정말 자연을 보호하지 않고서는 우리도 우리 후손도 살아갈 곳을 잃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의 저자는 세계적인 해양 생태학자이자 환경 운동가다. 그는 모든 생물은 다양성을 보존하고 있어야 하고 서로가 얽혀서 순환하고 있다고 말한다. 내셔널지오그래픽 청정바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탐험하는 생태학자로 환경 운동까지 펼치고 있다. 그래서 책의 내용은 그냥 맥락없는 것이 아니라 이론적으로나 경험적으로 사례를 들어가면서 설명해 공감이 가는 내용이 많았다. 사실 그림이나 사진, 도표 하나 없지만 생각보다 술술 읽혔다.
특히 해양생물의 고갈과 그로 인한 모든 혜택의 소멸을 방지하려면 완전한 보호 구역을 더 많이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부분에 공감되었다. 사실 무분별하게 포획을 하는 사람들이 있어 생태계가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 일이 많다. 저자는 어릴 적 스쿠버다이빙을 하고 휴가를 가면서 보아왔던 지중해 바다를 예로 들면서 이야기한다. 보호 구역은 단순히 지정만 해둘 것이 아니라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도 주장한다. 세렝개티의 연구를 예로 들었는데 읽어갈수록 나에게는 진짜 동물 다큐멘터리를 보고 있는 것처럼 생동감이 느껴졌다.
저자가 생태학자이면서 환경 운동가로 활동을 열심히 해왔기에 사례로 든 내용이나 실험 결론들, 다른 학자들의 다양한 이론들이 신뢰감이 느껴졌다. 육지뿐만이 아니라 바다 등 생물이 사는 곳이라면 어떤 곳이든 연구했고 그 결과를 이 책에 공유했다. 세상에 이렇게 많은 생물이 있고 지구는 점점 힘들어지고 있다니... 경각심이 생기는 내용들이 많았다. 인간들은 너무도 빨리 지구를 소모시키고 있다. 이 책은 배우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동물학자인 제인구달, 영화감독인 제임스 캐머런, 생물학자인 에드워드 윌슨이 추천했다.
이 책의 부제는 우리에게는 왜 야생이 필요한가다. 야생이라는 건 불편함을 동반한다. 하지만 그 불편함 안에 생물들이 다양성을 보존하고 생태계를 제대로 순환하며 만들어가는 것이다. 그동안 물 쓰듯 물도 쓰고 마구잡이로 이것저것 잡아 온 시간을 반성하게 만드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