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와 함께한 세 번의 여행 - 엄마를 보내고, 기억하며 삶과 이야기 1
이상원 지음 / 갈매나무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라는 단어는 어머니와는 달라서 엄마, 라고 발음하면 이내 저릿하고 아릿하고 뭉클하고 뭔가 갑자기 그렁그렁해진다. 밥 냄새 같은 푸근함보다 아릿함이 먼저 생겨나는 건 어느 새 늙어버린 내 나이 탓일까. 이제 나이 들어버린 자식은 엄마가 엄마로 살아온 삶의 이력과 엄마가 아닌 한 여자, 한 사람으로서 살아온 삶의 이력을 조금쯤은 알게 되어버린 탓에 혼자 엄마,라고 뇌까리면서, 혼자 아릿해한다.

 

삶이 비루하다고 느낀 적도 있지만, 굳이 뭐 비루할 것까지야...

 

인생은 뜻대로 풀리지 않고,

흘러는 가는데 어디로 흘러갈지 모르겠고,

어느 광고에서는 미완성으로 태어나 원하는 나를 완성시켜가는 인생이라니

얼마나 다행인가 라고 말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의 삶이란 어느 정도 서로 닮아있지 않나. 얼굴은 다 다르다지만 눈과 코와 입으로 이루어진 대강의 얼개처럼 말이다.

 

쉰 줄에 접어든 늙은 딸, 여든 살의 늙은 엄마. 췌장암 말기 판정을 받은 여든 살의 엄마, 결국 돌아가신 여든 살의 엄마. 결코 행복하지 않았던 엄마의 결혼 생활, 엄마이기 이전의 삶,

 

읽다 보니 크게 다르지 않다. 누군가의 집에는 오래된 친척처럼 을 앓는 어르신들이 계시고, 간병에 지치고 각자의 삶에 바쁜 자식들이 있고, 우리네 부모들의 결혼 생활은 뭐 굳이 말하지 않아도. 그렇게 지치고 나가떨어지다가도 엄마는 늘 그리운 이름이고 아픈 이름이고 가슴 저린 이름이고,

 

그런 엄마와 엄마의 병과 엄마의 죽음을 지켜본 딸의 담담한 이야기를 읽고 있자니 삶은 결코 비루하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아무리 사는 게 거기서 거기라지만 엄마는 삶을 비루하게 만들지 않는다. 엄마는 내 삶의 후광이다.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에서 용식이는 자기가 호감형이라 사람들이 다 자기에게 잘해준다고 좋아라 한다. 하지만 그 뒤에는 엄마가 있었다. 엄마에게 버림받은 동백이는 그래도 엄마가 자기를 늘 지켜봐 왔음을, 그리고 앞으로도 함께하기를 바란다.

 

용식이 엄마도, 동백이 엄마도 미우나 고우나 다 자식들의 후광이다.

엄마를 기억하는 딸에게도 여전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와 있으면 나만 나쁜 사람이 되는 것 같아 - 피해자인 척하는 사람에게서 조용히 멀어지는 법
가타다 다마미 지음, 홍성민 옮김 / 갈매나무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다가 내 주변을 떠올려 보게 된다. 내가 잘못을 지적하면

 

1. 눈물이 그렁그렁하며 억울해 한다.

단골 대사는 왜 저만 갖고 그래요?”

덧붙이면 다른 사람들도 마찬가지인데 왜 유독 나만, ?”

 

2. 불안한 듯 눈을 굴리며 남 탓을 한다.

단골 대사는 저 때문이 아니라 쟤 때문이라구요.”

 

3. 눈을 동그랗게 뜨고 우긴다.

단골 대사는 제가 언제요? (한숨) 전 그런 적 없어요. 왜 제 말을 안 믿죠?”

 

뭐 대략 이런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이 있다. 그럼 나는 대략 난감하다. 분명 객관적인 입장에서 지적한 건데 (그래, 아닐 수도 있겠지만) 돌아오는 반응을 보면 앞뒤 사정 안 헤아리고 뭣도 모르면서 상대방을 비난한 사람이 되고 만다. 가해자까지는 아니어도 상대방의 피해자 코스프레를 떠안아야 하는 셈이다.

 

이런 대인 관계는 피곤하다. 지친다.

왜 그들은 그런 걸까 (그래, 내가 그럴 수도 있다. 나도 돌아보자.)

 

개인의 기질 탓인지, 사회 탓인지.

 

자기애에 기반한 기질의 발현과 사회적인 문제가 모두 얽혀서 부부간에도 부모-자식 간에도 직장 동료 간에서 선후배 간에도 뭐 어디든 인간관계가 있는 곳에는 이런 피해자인 척 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리고 그들에게 진짜 피해 입은 피해자가 되지 않도록, 자신 역시 피해자인 척 하는 사람이 되지 않도록 책은 알려 준다.

 

너 때문에 내가 직장을 접었어...

그래 직장을 접은 건 팩트라고 하자. 하지만 접은 건 당신 때문이 아니라 당신 핑계를 대고 피해자인 척 하는 자기자신이다. 당신 때문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첫째 딸로 태어나고 싶지는 않았지만 - 큰딸로 태어난 여자들의 성장과 치유의 심리학
리세터 스하위테마커르.비스 엔트호번 지음, 이상원 옮김 / 갈매나무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첫째라 제 몫 다하느라 고생한다.”

나는 첫째 딸이다. 하지만 뭐 그렇게 ‘첫째’의 ‘제 몫’에 대해서는 생각해 본 적이 없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어느 날 우연히 부모님이 하시는 말씀을 들었다. 그런가, 첫째라 제 몫 다하느라 고생이었나. 그런 것 같지는 않은데. 나 알게 모르게 첫째 딸 콤플렉스가 있었나? ‘첫째의 제 몫’은 도대체 뭔데?

그러던 차에
1. 나처럼 첫째 딸인 친구가 맏이의 어려움을 커밍아웃 했다.
2. 어느 예능 프로그램에서 자신의 첫째 딸을 보며 첫째 딸로 살았던 자신을 떠올리는 배우가 나왔다.
3. ‘첫째 딸로 태어나고 싶지는 않았지만’이라는 이 책이 나왔다.

책은 온통 첫째 딸 이야기다. 부모의 관심을 오롯이 받으며 태어나 모든 것이 처음인 부모에게 세상의 중심이었다가 동생이 생기면 그 지위를 순식간에 빼앗기게 된 첫째. 첫째니까 동생에게 잘 해야지 하는 책임감 속에서 자라면서 스스로를 누군가의 버팀목으로 키워 나간 첫째.

첫째 딸인 나를 돌아보기로 했다.

1) 처음에는 맏이가 될 줄 몰랐다.
2) 시간이 지나 동생이 생기면서 첫째 딸이 되었다.
3) 가족의 관심을 동생과 나누어 갖는 것에 대해 어떤 감정인지 사실 기억은 안 난다.
4) 하지만 늘 어린 동생을 내가 잘 보살펴야 한다고 생각했다.
5) 동생보다 많은 경험치가 있어서 이런저런 조언이나 잔소리도 한 것 같다.
6) 동생이 나쁜 길로 갈까 봐 노심초사 했었다.
7) 대학 갈 때쯤에는 첫째인 내가 길을 잘 뚫어 놓아야 한다는 말을 들었다.
8) 집안 경조사가 생기면 맏이인 내가 뭐라도 해야지 하는 생각이 든다.
9) 나이가 들수록 자꾸 가족에 대한 책임감이 커진다.

아, 이쯤 쓰고 있자니 첫째의 제 몫이라는 게 소소하지만 나에게도 있었다. 첫째 딸로 태어난 게 아니라 첫째 딸로 길러진 사회적 존재. 사람의 성격과 행동을 만들어가는 많은 요소가 있겠지만 가족 관계에서 ‘첫째 딸’이라는 것 역시 나를 키운 몇 할의 요소였다.

나를 키운 ‘첫째 딸’ 타이틀이 부담스럽지는 않다. 그래, 이 지긋지긋한 책임감! 이러면서도 사실 내심 맏이라 좋다. 그래서 이번 생애에 첫째 딸은 처음이라 뭣 모르고 자랐지만, 다시 태어난다면 그때도 역시 수고스럽겠지만 첫째 딸로 태어나고 싶다. 아무래도 둘째나 막내는, 아, 마음이 안 놓인다.

“아무래도 맏이가 더 낫겠어, 나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심리학, 자존감을 부탁해 - 온전히 나답게 살기 위한 자존감 연습
슈테파니 슈탈 지음, 김시형 옮김 / 갈매나무 / 201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병원에 갔더니 만성 스트레스 장애로 몸의 기능이 현저히 떨어진 상태라고 의사가 말한다. 저는요, 스트레스를 잘 느끼지 않는다고 생각하는데요, 라고 말하자 자기가 스트레스 상태인 걸 인정하지 않는 무슨 그런 부정 상태라고 한다. 그러니까 나는 나도 모르게 만성 스트레스를 껴안고 있다는 말이다. 그 말을 들은 순간, 스트레스가 확- 왔다.

자존감에 대해서도 비슷하다. 자존감이 높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낮다고 인정하고 싶지도 않은, 내가 나를 잘 모르겠는 상태다. 이때 심리학자가 나타나 나를 분석해주었으면 좋겠다. 그럼 그 말을 수긍하든지 안 하든지 어쨌든 나를 찬찬히 들여다볼지도 모르겠다. 내가 스스로 나를 돌아본 지도 오래되었다. 나와 마주하기가 귀찮고, 그랬다가 괜히 자기비하에 빠지거나 하는 감정 소모를 겪기도 피곤하다.

“야, 자존감이 필요한 ‘그애’에게 줘.”

친구가 이 책을 주며 말했다. ‘그애’는 물론 나는 아니다. 아니다, 나인가? 나 자신도 확신을 못하겠다. ‘그애’에게 주기 전에 내가 먼저 읽었다.

스스로의 능력이 의심스럽고, 실수할까 불안하고 거부당할까 두렵고, 누가 나를 좋아해주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비판에 턱없이 약하고, 자신의 강점 대신 약점만 스스로에게 부각시키고...

이런, 나다. 그런데 또 생각하면 ‘그애’이기도 하다. 우리는 스스로를 잘 받아들이지 못하고, 책임을 전가할 상대를 찾거나 아니면 전적으로 자신에게만 떠넘긴다. 내가 못나서 그래... 우리는 크든 작든 자존감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이었다. 인정하기 싫지만 인정해야만 하는 것들도 있는 법이다. 내 만성 스트레스처럼. 인정하고 나를 돌아보고 주변을 살펴봐야 방향성이 나타날 것 아닌가.

예전에 자기의 장점을 쓰라고 했더니, ‘나는 머리가 크지만 괜찮다.’라고 작성한 문장을 봤다. 단점 또는 약점을 앞에 쓰고 뒤에는 말한다, 괜찮다고. ‘나’나 ‘그애’나 우리에게 좀더 자주 ‘나는 괜찮아.’, ‘너도 괜찮아.’, ‘나는 예쁘지 않지만 괜찮아.’라고 말을 걸어야겠다.

책 읽는다고 당장 달라지리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읽다 보니 얼마 전 읽은 소설의 구절이 생각난다. 코끼리를 먹는 방법! 코끼리를 먹는 방법은 한 번에 한 입씩 먹는 거라나. 내 마음 속 지지고 볶는 모든 문제들이 거대한 코끼리 같다면, “이런 젠장, 코끼리잖아!”라고 놀란 다음에 도망갈 게 아니라 한 번에 한 입씩 먹는 거다. 내 자존감도 그렇게 u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평정심, 나를 지켜내는 힘 - 비이성적인 세상에서 내 마음을 다스리는 심리 훈련
토마스 호엔제 지음, 유영미 옮김 / 갈매나무 / 2015년 2월
평점 :
절판


단어 선택 게임이 있다고 하자. 제시된 두 개의 단어 중 습득하기를 원하는 단어를 고르는 게임이라고 해 두자. 시작한다.

설레발 vs 평정심

좀 시시한 게임이기는 하다. 나는 ‘평정심’을 선택한다. ‘설레발’은 이미 넘치도록 보유하고 있다. 문제는 ‘평정심’을 선택했지만 이 아이템을 어떻게 내것으로 하느냐이지 않을까.

집 안에서든 집 밖에서든, 회사 안에서든 회사 밖에서든 흥분하고, 좌절하고, 불안하고, 조급하고, 성질나고, 뚜껑 열리고, 초조하고, 화나고, 신경질 나고, 참을 수 없고, 미춰버리겠거나 돌아버리겠는 일에 자주 내몰린다. 아, 스트레스로 점철된 인생이여!

차가 신호등에 너무 자주 걸려도 평정심을 잃고, 횡단보도의 파란불이 깜빡거려도 평정심을 잃고, 약속 시간에 늦어도 평정심을 잃고, 직장 상사가 싫은 소리를 하면 당연히 평정심을 잃고, 살이 찌거나 주름살이 늘어도 평정심을 잃고, 싫은 사람이 싫은 짓거리를 하면 저건 또 왜 이러나 싶어 평정심을 잃고, 업무가 쌓여 있는데 또 업무 폭탄이 던져지면 소리지를 정도로 평정심을 잃고. 이런 소소한 일상 하나하나가 다 평정심을 잃게 한다.

나도 유연하고 차분하게 대처하고 싶은데, 부처님처럼 미소 지으며 평정심을 유지하고 싶은데. 평정심을 찾지 못해 또 평정심을 잃고 만다.

그런데 나를 긴장으로 내몰아 평정심을 잃게 만드는 것은 사건 자체가 아니라 그 사건에 대한 나의 생각이다. 이 책을 읽는 동안 제일 많이 접한 문장이다. 그렇지, 가만 생각하면 내가 평정심을 잃는 것은 사건이나 일 자체가 아니라 그것에 대한 나의 생각 때문이다. 업무가 주어지면 그 업무 자체가 아니라 내가 시간 내에 마칠 수 있을까, 못하면 평가절하되겠지, 왜 나에게만 과다한 업무가 주어지는 거야 등등 그 일에 대한 나의 생각이 스스로를 스트레스 상황으로 몰고 마는 것이다.

우리가 평정심을 잃는 이유 중의 하나는 사고회로가 AC로 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A는 사건, C는 감정과 행동으로 보면 된다. AC사고는 ‘어떤 사건이 곧바로 감정과 행동을 유발한다’고 생각하는 것인데 이렇게 되면 스스로의 생각으로 감정과 행동을 조절할 수가 없어서 필요 이상으로 괴로워하고, 겁을 먹게 된다고 한다. 이때 필요한 사고회로는 ABC 사고이다. B는 생각과 확신이다. 사건(A)에 대한 생각(B)으로 행동과 감정(C)을 조절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평정심은 바로 A를 바라보는 B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게 아닐까. 업무가 주어지면 그 업무를 대하는 나의 생각과 확신을 바꿈으로써 평정심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게 쉬워, 쉽냐고? 하면서 내가 평정심을 잃고 물어 보니 책이 쉽지 않다고, 단시일 내에 획득 가능한 것도 아니라고 말해준다. 하지만 획득할 수 없는 것은 아니라고, 평정심을 당신이 원한다면. 그러더니 생각을 놓아주고 평정심을 획득할 수 있는 조언들을 들려주기 시작한다. 책을 다 읽었을 때 평정심 레벨이 만렙이 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평정심을 생각하게 되었다. 그리고 우선은 ‘사건이 아니라 사건에 대한 나의 생각이 불안을 만들어낸다’는 것을 늘 기억하기로 했다. 평정심을 잃을 때 이 문장을 떠올리고 나의 생각을 조절할 수 있게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