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런 조밥에 푸른 아욱국을 곁들인 아침밥을 기념하여 옛 선비들이 '노규황량사'(露葵黃粱社) 글씨 액자를 만든 것이 아침 식탁 화제에 올랐다. 일설에는 다산(정약용) 선생이 그런 아침밥을 차리고 길손은 추사(김정희)이었고 서액 글씨가 추사체라고 하였다. 다산이 애호한 시구 '노규'(露葵, 아욱)과 '황량'(黃粱, 누런 조)을 하룻밤 같이 묵은 추사가 써줬다는 이야기였다.
_아욱과 단풍나무 잎의 공통점을 아니?
_아욱은 단풍나무 잎처럼 다섯 갈래로 갈라져 있어요.
_중국단풍나무 잎은 세 갈래로 갈라져 있어서 비교가 안 되는구나.
_언제 넣었는지 보리새우의 붉은 빛이 아욱 속에 섞여 있었다. [중략] 깻잎에 밥을 싸서 입 안에 넣으며 볼이 미어지게 웃었다. 작가님 글에서요.
_새우 중에서도 '보리새우'이고 '볼'이 재밌게 되었네.
_보리새우가 맛과 빛깔이 좋지요.
_붉은 빛은 새우를 익히면 나타나지.
_황진이 볼은 무엇과 같았을까요?
_이태준의 단행본 분량 소설 '황진이'(1936)에서는 표현한 것을 볼게.
밤떡처럼 뽀얗던 볼
_밤떡은 밤을 섞어 넣어 만든 떡이 아닌가요?
_쌀가루에 밤을 통째로 섞어서 시루에 찌거나, 밤을 삶아 으깬 것에 찹쌀가루와 꿀을 섞어 넣어 시루에 쪄.
남편은 붉은 빛 새우에 언젠가 여름날 아침에 만난 새 이야기 써 놓은 것을 꺼냈다.
전깃줄에 앉은 새 하면 제비가 생각날지 모른다. 까치를 머릿속에 떠올릴까? 참새를 흔히들 연상하지 않겠느냐고 할 듯하다. 야산 산자락을 감도는 도로 위를 가로지르는 외가닥 전깃줄에 동그맣게 앉아 있는 직박구리를 쳐다본다. 평소에는 무리를 지어 시끄럽게 악을 쓴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고성에 요란하게 지저귀는 새가 직박구리다. 새 모습을 찬찬히 뜯어보면 귀염성이 느껴진다. 영어명 'brown-eared bulbul'에서도 보듯이 귀 부분이 갈색을 띠어 단조로울 새 빛깔에 변화를 준다. 만난 새들은 참새, 까치, 직박구리, 박새, 청딱따구리, 멧비둘기, 오색딱따구리, 꾀꼬리. 청딱따구리는 낭랑한 울음소리가 듣기 좋다. 멀리서 날아가는 오색딱따구리 두 마리, 붉은 빛 스커트 같은 배 아래 붉은 색이 유난히 눈에 띈다. 마침 부근을 나는 꾀꼬리는 노랑 원피스 차림이라고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