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집의 즐거움 - 평범한 사람들의 특별한 수집 이야기
박균호 지음 / 두리반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 「수집의 즐거움」 행복을 모으는 사람들




수집의 즐거움 - 
박균호 지음/두리반


 군시절 후임에게 소설 책을 빌려줬는데 물에 흠뻑 젖은 채로 돌아왔다. 종이가 불어 글씨를 알아보기가 힘들었다. 나는 어처구니없는 표정을 지었고 후임은 내 어처구니 없는 표징이 어처구니 없다는 듯이 쳐다봤다. 나는 군기확립이 철저한 군인이었다. 후임이 나를 무서워하지 않았을 리는 없다. 후임은 정말 아무렇지 않게 생각한 것이다. 책이 나에게 소중한 물건이고 파손이나 훼손되어서는 안 된다는 걸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다. 

 나처럼 책을 좋아하고 소중히 하는 사람들은 책을 냄비받침으로 쓰는 걸 이해하지 못한다. 반대로 그들은 책 모서리를 접는 모습으로 보고 기겁하는 내 모습을 이해하지 못한다. 사람은 그렇게 취향이 다르고 소중하게 생각하는 게 다르다. 그 다양성을 인정하고 배려와 존중 사이에서 태어난 책이 바로 「수집의 즐거움」이다. 


 일본의 문예평론가이자 미술 수집가였던 야나기 무네요시는 "아름다운 무언가를 찾으려는 마음이야 딱히 어느 누구라 할 것도 없이 모든 사람의 마음에 애초부터 존재하는 바"라고 말했다. 기성세대가 어렸을 때 구슬과 딱지를 모으고, 요즈음 아이들이 포켓몬 카드를 모으는 것을 보면 수집이라는 것이 어느 몇몇 사람의 유별난 취미 활동은 아니며 다만 그 대상물에 대한 열정이 얼마나 오래 가느냐의 문제라고 김근영 씨는 말한다.

P. 159 

 

 

 수집가들의 이야기는 보기에도 즐겁다. 괴담을 수집하는 작가의 이야기나 청첩장, 콜라병, 연필 등 가지각색의 수집품들이 곧 인간의 마음이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 같아 흥미롭다. 난 이걸 좋아해, 그래? 난 이걸 좋아해.

그들이 좋아하는 물건의 가치와 좋아하는 마음의 가치를 저울질하며 '수집'이라는 개념을 바라보는 올바른 자세가 뭔지 어렴풋이 떠오른다. '수집가의 이야기를 수집하는' 책의 발단이 재밌어서 이야기는 끈기를 갖는다. 제3자가 보기에도 희귀한 물건을 구했을 때는 같이 환호성을 지를만큼의 공감과 절정도 갖고 있다. 무엇보다 볼 거리는 무언가에 열정적으로 쏟아 내는 사람, 연애의 감정과도 비슷한 그 사람들의 마음이다. 


 톰 시버의 카드를 구하지 못해서 애를 태울 당시 토니 김은 톰 시버의 카드만 구한다면 카드 수집을 그만두어야겠다고 작정했다고 한다. 토니 김은 도박하는 심정으로 카드를 구입했는데 톰 시버의 전 세계 한 장 한정카드가 나와서 도시 한복판에서 미친 사람마냥 소리를 질렀다. 그에겐 로또에 당첨되는 것과 다름없는 행운이었다. 

P. 77 



 수집가들의 특이할만한 공통점은 거의 다 술과 담배를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인생의 즐거움이 정해져 있으니 구태여 술과 담배에서 즐거움을 찾을 필요가 없다. 게다가 보통의 편견처럼 '수집'에 몰두하여 '일상'에 소홀하기 보다는 '수집'을 위해 '일상'을 꼼꼼히 챙긴다. 우리는 뭔가 소중한 것, 이를테면 가족이나 꿈 같은 것을 위해 힘겨움을 참아낸다. 수집가들은 그 소중한 목록에 '수집'이 추가돼 있을뿐이다. 그 목록은 오랜 시간 바람을 견뎌 낸 바위처럼 흔들림없이 확고하다. 

 책에 소개된 수집의 스케일이 크지 않다는 건 삶의 행복 또한 한 아름 안을 수 없을 정도로 큰 존재가 아니라는 것과 같다. 삶에는 흔히 노력하지 않은 것에 대한 커다란 보답을 행운이라 하는데 이것이 과하면 오히려 불행으로 다가온다. 반면에 수집이라는 작은 노력은 쌓이고 쌓여 어느날 바라보면 행복으로 바뀌어 있다. 그들이 모으는 것은 모두 다르지만 '행복'을 수집하고 있다는 점은 같다. 삶의 궁극적인 목표 행복. 수집가들이야말로 삶이라는 과제를 제대로 수행해내고 있는 사람이다.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은 수집가다"라는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말처럼 김근영 씨에게는 콜라 컬렉션을 소유한다는 자체가 최고의 행복이고 만족감을 준다.

P. 161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5-06-08 21: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책을 보면 예전에 거들떠보지 않은 사물들도 수집하고 싶은 마음이 들어요. 마치 서평집을 읽으면 글쓴이가 읽은 책을 가져서 읽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것처럼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