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따라 연정, 자홀 , 시기로, 이것들이 자꼬 금메달처럼 만져지는구려하나,
내 모든 것을 여념 없이 물결에 씻어 보내려니 당신은 호면으로 나를 불러내소서
<이적> 중 - P58
산협山峽의 오후午後
내 노래는오히려 설은 산울림.
골짜기 길에 떨어진 그림자는너무나 슬프구나
오후의명상은 아 졸려. - P65
황혼
햇살은 미닫이 틈으로 길죽한 일자一字쓰고… 지우고..
까마귀떼지붕 우으로 둘, 둘, 셋, 넷, 자꼬 날아 지난다. 쑥쑥, 꿈틀꿈들 북쪽 하늘로,
내사.… 북쪽 하늘로 나래를 펴고 싶다.
(1936) - P90
편지
누나! 이 겨울에도 눈이 가득히 왔습니다.
흰 봉투에 눈을 한 줌 넣고 글씨도 쓰지 말고 우표도 붙이지 말고 말숙하게 그대로 편지를 부칠가요?
누나 가신 나라엔 눈이 아니 온다기에. - P112
공상空想
공상 ~ 내 마음의 탑 나는 말없이 이 탑을 쌓고 있다. 명언과 허영의 천공天空에다 무너질 줄 모르고 한층 두 층 높이 쌓는다.
무한한 나의 공상 - 그것은 내 마음의 바다, 나는 두 팔을 펼쳐서 나의 바다에서 자유로이 헤엄친다. 황금 지욕의 수평선을 향하여. - P136
밤이다. 하늘은 푸르다 못해 농회색濃灰色으로 캄캄하나 별들만은 또렷또렷 빛난다. 침침한 어둠뿐만 아니라 오삭오삭 춥다. 이 육중한 기류 가운데 자조自하는 한 젊은이가 있다. 그를 나라고 불러두자.
<별똥 떨어진 데> 작품에서 발춰 - P159
나무가 있다. 그는 나의 오랜 이웃이요 벗이다. 그렇다고 그와 내가성격이나 환경이나 생활이 공통한 데 있어서가 아니다. 말하자면 극단과 극단 사이에도 애정이 관통할 수 있다는 기적적인 교분交分의 표본에 지나지 못할 것이다.
< 별똥 떨어진 데 > 에서 발췌 - P161
코스모스가 홀홀히 떨어지는 날 우주의 마지막은 아닙니다. 여기에 푸른 하늘이 높아지고 빨간 노란 단풍이 꽃에 못지않게 가지마다 물들었다가 귀또리 울음이 끊어짐과 함께단풍의 세계가 무너지고 그 우에 하로밤 사이에 소복이 흰눈이 나려나려 쌓이고 화로에는 빨간 숯불이 피어오르고많은 이야기와 많은 일이 이 화로가에서 이루어집니다.
<화원에 꽃이 핀다>에서 발췌 - P163
시간을 먹는다는 (이 말의 의의와 이 말의 묘미는 질판 앞에 서보신 분과 칠판 밑에 앉아보신 분은 누구나 아실 것입니다) 것은 확실히 즐거운 일임에 틀림없습니다. 하루를 휴강한다는 것보다 하긴 슬그머니 까먹어 버리면 그만이지만)다 못 한 시간, 숙제를 못해왔다든가 따분하고 졸리고 한때, 한시간의 휴강은 진실로 살로 가는 것이어서, 만일 교수가 불편하여서 못 나오셨다고 하더라도 미처 우리들의예의를 갖출 사이가 없는 것입니다.
<화원에 꽃이 핀다 >에서 발췌 - P164
나는 세계관, 인생관, 이런 좀더 큰 문제보다 바람과 구름과 햇빛과 나무와 우정, 이런 것들에 더 많이 괴로워해왔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단지 이 말이 나의 역설이나, 나자신을 흐리우는 데 지날 뿐일가요.
<화원에 꽃이 핀다 >에서 발췌 - P166
나한테 하는 권고는 아니었으나 이 말에 귀틈이 뚫려상푸둥 그러리라고 생각하였다. 비단 여기만이 아니라 인간을 떠나서 도를 닦는다는 것히 한낱 오락이오, 오락이매생활이 될 수 없고 생활이 없으매 이 또한 죽은 공부가 아니랴. 공부도 생활화하여야 되리라 생각하고 불일내에 문안으로 들어가기를 내심으로 단정해 버렸다. 그 뒤 매일같이 이 자국을 밟게 된 것이다.
<종시>에서 발췌 - P169
내가 나린 곳이 나의 종점이오, 내가 타는 곳이 나의 시전이 되는 까닭이다.
<종시>에서 발췌
- P175
한 시인의 작품이 만일 별처럼 빛나고 그 시편들이 오래도록 많은 사람의 가슴 속에 살아 있다면, 비록 그 시인이 이 세상에 오래 살지 않았다 해도 빛을 잃지 않은 찬연한 삶을 누렸다고 얘기할 것이다.
성춘복 시인의 <윤동주의 작품세계> 에서 발췌 - P178
현실적으로 시인의 사상과 꿈이 쉽사리 성취될 것 같지않는 어려움에 대한 예감의 징표로서일까. 아니면 그러한현실세계로부터 영원한 자유롭고 영원히 아름다운 무한에의 지향으로서의 별, 이 별을 나로 발견하여 낭만적으로 노래했을 가능성도 얼마든지 있는 법이 아닐까.
성춘복 시인의 <윤동주의 작품 세계>에서 발췌 - P18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