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책을 보니 이런 멋진 말이 있다. "나는 위성이 아닌 빛나는 별이다" 모두를 행복하게 하는 삶은 불가능하다. 자신이 행복하면 주위도 행복해진다. 남들 주위에 돌면서 눈치 보며 전전긍긍하고 남들이 가진 빛(인정, 사랑...)을 얻어 가려는 삶을 그만둔다. 사람들을 배려하고 돕지만 그것이 상대의 기분에 맞춘 도움이나 인정받으려는 데서나온 것이 아니라 주체적 선택으로 한다. - P267
살다 보면 ‘실패‘ 란 당연하다. 그런데 내 열심과 능력을 못 알아준다고 술 먹고 상 사나 고객을 원망하거나 또는 자책에 빠져 스스로 원망해봤자 달라지는 것은 없다. 아니, 악화될 뿐이다. 그러고는 예전 방식대로 다시 도전해봐야 또 실패할 뿐이다. 겸허한 자세와 피드백을 통해 자신을 업그레이드할 ‘기회‘로 여기고 용기 있게 찾아가서피드백도 받고 새로운 준비를 한다면 그 ‘실패‘는 인생의 값진 ‘자산‘으로 남을 것이다 - P269
경험하지 못하면 선택하기 어렵다. 경험해보고 선택하면 된다. - P274
어떤 사람은 ‘책임‘ 의식이 너무 강해 상대가 물을 먹는 것까지 책임지려 물을 억지로 먹이고자 한다. 그것까지 되지 않으면 소임을 다하지 않았다고 불안해한다. 그러나그것은 책임지는 것이 아니라 그의 삶에 끼어드는 것이다. 누구든 자신의 삶만 자신이책임지는 것이다. 타인의 삶을 내가 책임질 수 없다. - P275
나는 나의 과제를 하고 그는 그의 과제를 한다. 나는 타인의 과제에 끼어들지 않고타인은 당신의 과제에 끼어들지 않게 한다. - P275
진실은 ‘노력이 부족한 것도 생각이 부족함도 아니다. 단지 선택하지않았기 때문이다‘ 우리가 피아노를 배우려면 피아노 학원을 등록하고 피아노 앞에 앉으면 된다. 그것이 선택이다. 머리로 ‘피아노 치면 좋겠는데…‘, ‘배우고는 싶은데 잘안돼요‘는 ‘선택‘이 아니다. - P278
결국 더 많이 시도하고, 더 많이 배우고, 더 많이 감사하고, 더 많이 맛보고, 더 많이 웃고, 더 많이 기뻐하고, 더 많이 여행하고, 더 많이 용서하고, 더 많은 사람들을도울때 행복해진다. - P279
물론, 다들 핑핑 노는 조직은 문제가 있지만 그렇다고 모두가 100% 극단의 효율로 돌아가는 조직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다. 모두가현재만을 위해서 빈틈없이 빡빡하게 돌아가다 보면 위기 상황이나 누군가 빠졌을 때대응하기 어렵다. 소위 ‘슬랙‘이 필요하다. 인간 개인의 삶도 유사한 것 아닌가 싶다. 매시간 빈둥거린다면 문제가 있지만, 매순간 100% 빡빡하게 사는 것도 위험하다. 20%정도는 여유를 가지는 것이 좋을듯하다. 이래야 미래를 위한 고민도 하고, 가족과 책이나 자연을 즐기고, 비상 상황 시 백업으로 쓸 수 있다. - P280
그리스 철학자 에픽테토스는 이런 통찰 넘치는 말을 했다. "환경이 사람을 만드는게 아니다. 환경은 그가 어떤 사람인지 드러낼 뿐이다" 우리는 우리가 통제하지 못하는 일들이 자신을 만든다고 여긴다. 부모, 상사, 승진, 성공, 실패, 이별, 실직… 그러나 실제 이러한 환경이 ‘나‘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는것이다. 그러한 환경은 내가 어떤 사람인지를 드러낸다. 실패가 ‘절망하고 포기하는나‘를 만들고, 성공이 ‘자신있고 훌륭한 나를 만드는 것이 아니다. 동일한 실패 가운데서도 어떤 사람은 절망하고 포기하지만, 어떤 사람은 다시 배우고 성장하며 용기를낸다. 환경은 그의 실제 모습을 드러낸다. - P283
실수를 했으면 고치면 되고, 잘못을 하면 꾸중을 듣고, 성과가 안 나오면 교훈 삼아 다음에 잘하면 되고, 차였으면 다른 사람을 찾으면 된다. 그게 다다. - P2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