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에 사는 아이들이 좋아할 책. 엘리베이터를 탈 때마다 공룡을 생각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의무감으로 읽었다. NFT 가 더 보편화 될 것이고 내가 몸담은 회사도 관련 사업을 펼칠 것이기에...NFT 입문서로 삼을 만한 책이다.

NFT를 둘러싼 법적 분쟁이 잦아질 것 같다. NFT 소유권 개념이 다듬어지고 연구 결과물도 많이 나올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댄저러스>

세이프(S. K. 바넷, 민음사)를 읽고

**주의: 스포일러 있음

오랜만에 스릴러 소설을 읽었다. 일단 만족스럽다. 스릴러답게 흥미를 돋우는 요소가 풍부했으며 여러 차례 나오는 반전이 충격을 주었다. 그리고 내가 세운 주요 가설이 맞았다는 것을 확인하며 읽어나간 게 즐거웠다.

실종되었던 아이가 가족에게 돌아오며 사건이 벌어진다. 이 줄거리는 김영하 작가의 단편소설 ‘아이를 찾습니다‘를 떠올리게 했다. 참척, 부모의 슬픔과 같은 감상적이고 무거운 단어를 생각하며 책을 읽어나가기 시작했다. 납치범인 양부모에게서 끔찍한 일을 겪은 소녀가 가여웠다.

추리 소설, 스릴러 소설은 게임이나 퍼즐 같은 성격을 지녔다. 문제가 주어지고 단서가 있기에 해답을 찾아가며 읽을 수 있다. 나는 72페이지(여러 친척이 돌아온 제니를 보러 온 장면)에서 두 가지 가설을 세웠다.

① 돌아온 제니는 진짜 제니가 아니다.
② 제니 실종에 관여한 주된 인물은 제니 가족 가운데 있다.

단순히 직감에 의존한 이 중요 예측이 결국에는 맞았다.

스릴러 감상 모드로 독서 태세를 전환했다. 역시나, 돌아온 아이는 진짜 그 아이가 아니었다. 양부모에게서 도망쳐 나와, 떠돌이 생활을 하며, 실종되었다 돌아온 아이인 척 하는 상습범이었다. 나는 수사를 하는 형사처럼 예측을 하고 추적하며 소설을 읽었다. 내 생각이 정답에 근접했다는 것을 확인할 때는 쾌감을 느꼈다. 물론 알아맞히지 못하고 작가가 짜놓은 흐름을 따라갈 수밖에 없는 순간이 더 많았다. 친구인 탭스를 의심하며 헛다리를 짚은 게 대표사례다. 나는 탭스가 주인공에게 어떠한 의도를 갖고 일부러 접근한다고 의심했다. 하지만 그녀는 친구이자 가장 중요한 조력자가 되었다.

내용 가운데 작위적이고 너무 쉽게 전개가 되는 부분은 실망이었다. 벤이 마리화나를 이용해 과거 기억을 떠올리는 장면(353, 367페이지), 해킹할 때 세인트루크 센터 비밀번호를 맞히는 대목(313페이지), 사진파일을 숨긴 컴퓨터 저장공간을 찾아내고 비밀번호를 맞히는 내용(380페이지)이 그랬다. 설득력이 낮았고 우연성이 짙었다. 작가가 소설을 구상하며 짜놓은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무리수를 둔 것 같았다.

위험하고 불안한 환경에서 자라온 주인공은 안락하고 안전한 공간을 꿈꾸었다. 그래서 거짓말을 하며 진짜 자녀 행세를 했다. 그것이 그녀를 더 위험한 상황에 빠뜨렸다. 안전한 집으로 돌아가길 꿈꾸는 그녀와 책을 통해 스릴 넘치는 위험한 여행을 함께 다녀온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개가 걷히기를>

‘밤으로의 긴 여로‘(유진 오닐, 민음사)를 읽고

톨스토이가 쓴 소설 ‘안나 카레니나‘의 첫 문장을 풀어내어 연극에 올렸다. ˝행복한 가정은 모두 엇비슷하고, 불행한 가정은 불행한 이유가 제각기 다르다.˝

유진 오닐의 희곡 ‘밤으로의 긴 여로‘를 읽은 뒤 내 나름껏 뽑은 한두 줄 평이다. 희곡은 문자 텍스트일 뿐, 연출의 손을 거쳐 무대를 빌어 배우를 통해야 비로소 극이 된다. 활자로 찍어낸 이 작품을 눈으로 읽었을 뿐이다. 하지만 책을 덮고 나서는 막이 내린 소극장 객석에 앉아 있는 기분이었다. 그만큼 빠져들게 하는 텍스트이며, 등장인물은 피와 뼈와 살을 지닌 배우를 옮겨둔듯 생생하게 그려졌다.

작품에 등장하는 타이론 가족 네 식구는 저마다 흠이 있다. 떠돌이처럼 가족을 호텔에서 묵게 해왔고 땅 구입에 집착하며 돈에 인색한 아버지, 약물 중독에 조울증 증상을 보이는 어머니, 방탕한 데다 빈둥대는 큰 아들, 병약하고 냉소적인 작은 아들. 크고 작은 흠이 가족 간 불화의 요인이다. 각자 그 흠을 이해하려 하고 걱정하면서도 가시 돋친 말로 상대에게 상처를 준다. 상대의 흠 때문에 분노를 느꼈기에, 흠으로 인해 겪은 고통이 컸기에 가족 간 벌어진 틈은 메우기 힘들고 자꾸만 벌어져 간다.
타이론 일가 역시 제 나름 이유가 있는 불행한 가족의 한 모습을 보여준다.

희곡을 읽는 중간중간, 내 상상 속 무대에 올라 타이론 가족을 연기하던 배우들이 내게 익숙한 얼굴로 바뀌었다. 아버지가 내뱉는 말에 고개를 가로젓는 나, 어머니에게 빈정대는 형, 짜증내는 가족들이 보였다. 우리 가족이 소리치고 궁시렁대는 소리가 들렸다. 반갑잖은 풍경과 말들이 폐수에서 건져올린 오물처럼 기억너머 흉하게 떠올랐다. 가족 간 겪은 갈등의 기억을 마주하는 게 아팠다. 책을 읽다가 옛 기억이 갓 겪은 현실로 느껴져 종종 화가 치솟아 가슴이 두근거렸다. 타이론 일가의 모습에서 내 가족의 풍경 조각을 주웠다.

타이론 가족의 갈등을 지켜보는 데서 촉발한 불쾌감이 지속하지는 않았다. 책을 다 읽고 난 뒤 오히려 개운했다. 카타르시스를 느꼈다. 어떤 면에서는 안도했다. 예나 지금이나, 동양이나 서양이나 가정사 또는 가족 간 갈등은 존재해왔다. 재산이 없으면 없는 대로, 많으면 많은 대로. 못 챙겨주면 못 챙겨준다고, 잘 대해주면 그것이 또 핑곗거리가 되어 미워하고 싫어하고 죄책감 느끼는 관계. 좀 야비한 정신승리일 수 있겠지만 이렇게 마무리 짓고 나를 다독였다. ‘어느 가족이든 문제가 있다. 그래도 우리집은 타이론 가족보다는 낫다.‘

밤으로 향한 하루동안의 긴 여정, 이 시간 내내 타이론 일가는 안개에 싸여 있다. 극 중 안개는 중요한 장치이자 상징이다. 앞이 보이지 않고 답답하며 불안하다. 타이론네 네 식구는 지친 몸과 마음을 이끌고 잠자리에 들 것이다. 바다에서 들리는 무적 소리 때문에 잠을 설칠 수도 있다. 다음 날도 비슷한 여정을 겪을지 모른다.

그럼에도 타이론 일가에게, 혈육 때문에 눈물 흘리고 괴로워하는 이들에게 진부한 응원을 건네본다. 안개가 걷히길 빈다.

※ ‘밤으로의 긴 여로‘(Long Day‘s Journey into Night)라는 제목 번역이 유감이다. 겹조사를 쓴 일본식 잔재 ‘~으로의‘가 거슬린다. 의미가 잘 와닿지도 않는다. 이것보다 ‘밤으로 향한 하루 동안의 긴 여정‘을 제안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작들에 비해 싱겁다. 작가가 직접 서사를 창작하지 않고 설화를 차용한 탓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