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 인 Lean In - 200만이 열광한 TED강연! 페이스북 성공 아이콘의 특별한 조언
셰릴 샌드버그 지음, 안기순 옮김 / 와이즈베리 / 2013년 5월
평점 :
품절


여성들의 경력 정글짐에 대한 실용적 조언 <린인>

 

'내가 대학을 졸업한 지 20년이 넘었는데도 세상은 내가 생각했던 만큼 진화하지 않았다. 남자 동창들은 거의 모두가 전문분야에서 일하고 있다. 여자 동창들은 사회에서 풀타임이나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경우도 있지만, 내 어머니처럼 전업주부이면서 자원봉사 활동을 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다.p30

 

사회가 발전하고, 대학졸업생의 여성비율이 58%에 이르며, OECD국가에서 고등학교 졸업생의 74%가 여성임에도 여전히 여성들은 무언의 억압을 받고 있는게 사실이다. 야심을 가진 남자와 야심을 가진 여자를 보는 시선만 보더라도 남성은 기대를 받지만, 여성은 불문율을 거스르는 듯 눈총을 받는다.

 

"나는 너무 예뻐서 숙제를 할 수 없으니 남동생이 대신해야 해"라는 문구를 새겨넣은 유아복이 1950년대도 아닌 2011년에 , 그것도 미국에서(어쨌던 미국은 우리보다 조금은 앞서가는게 사실이니까.)

 

'이제 제가 데이비드와 미셀 말고도 할아버지와 할머니까지 돌봐야 하잖아요. 너무해요!' 라며 휴가가는 부모님에게 외치는 어린 세릴은 어릴적부터 조직을 운영하는게 당연했는지도 모르겠다.

 

여성들은 자기 자리에 안주하려는 경향때문에 결국 자기 자리에 머물고 마는 불행한 악순환이 일어난다. 직장에서 위험을 기피하다 보면 도전적 임무를 맡겠다고 나서기를 주저하게 된다. 내 경험에 비추어보면 남성은 확장된 업무를 추구하는 경향이 강하고 시각적 효과가 높은 프로젝트를 찾는 반면에 여성은 자기 자리에 머무르려는 성향이 보인다.p101

 

'어머니벌점'이라는 표현은 참 재미있으면서도 의미심장하다. 일하는 어머니의 평균 연봉은 같은 조건의 남성보다 46%가 적다. 사회는 아이의 양육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육야휴직, 출산휴가를 신청하는 엄마들에게는 가혹하다. 남성은 가정의 부양을, 여성은 자녀의 양육을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돌도끼를 들고 식량을 구하러 다니던 시절에나 당연하던 것이었다.

 

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는 일은 힘들다. 어릴적부터 무의식적으로 행동속에 깊숙이 스며들어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성고정관념을 깰수록 부부는 더 행복해질 것이다. 부모가 평등한 가사분담을 하는 것은 아이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되고 우리의 자녀들은 기존의 틀을 깨기 위해 힘들여 노력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성공한 여성들이 그렇듯 그녀도 어머니의 역활과 사회에서의 역활을 동시에 해나가면서 견디기 힘든 순간들을 지나왔다. 그래서 더욱 여성들에게 변화하기를, 남성들 위주의 사회에서 우리 여성들이 먼저 성 차이를 인정하고 이들 뛰어넘길 바라면서 이 책을 쓴 것이 아닐까 싶다.

 

여성의 적은 여성이라는 말이 돌 정도로 여성의 성공은 시기와 질투의 대상이 되어왔다. 하지만 우리가 서로 돕지 않는다면 과거 여성들이 이룩해놓은 성 평등마저도 무의미해질지 모른다. 페이스북 COO 세릴 샌드버그의 <린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