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나 카레니나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이길주 옮김 / 책만드는집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세기 러시아의 사랑과 전쟁 <안나 카레니나> 

 

러시아 대문호 톨스토이의 3대 걸작중의 하나인 안나 카레니나, 노르웨이 북클럽 선정 세계100대 명저,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 현대 영미권 작가들이 뽑은 애독서 1위로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명저이다. 최근에는 영화로도 개봉되어 그 인기를 증명하고 있다.

"행복한 가정은 모두 비슷한 모양새지만, 불행한 가정은 그 불행의 이유가 저마다 다르다"

 

 

러시아 대문호 레프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니나>의 첫 문장은 바로 이 소설을 관통하는 주제로 시작한다. <안나 카레니나>는 이 한 작품에 진실한 사랑과 결혼, 예술, 종교, 죽음 등 삶에 관한 모든 것이 담겨 있다.  러시아 혁명에서 농노제 붕괴까지 한 시대의 초상을 담아낸 사회소설이기에 더욱 역작으로 이름을 남긴다. 이 한 작품에 진실한 사랑과 결혼, 예술, 종교, 죽음 등 삶에 관한 모든 것이 담겨 있다.

 

사교계에서 만난 안나와 브론스키. 젊은 장교 브론스키는 아름답고 매력적인 안나에게 빠져들고, 둘은 첫 눈에 서로의 불같은 열정을 확인한다. 그러나 군인의 신분이었지만 싱글인 브론스키와는 달리 안나는 아들과 남편이 있는 몸이었다.

안나의 남편인 카레닌은 러시아 정계의 최고 정치가이며 호화로운 저택에서 아들과 행복한 삶을 보내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안나는 언제나 이성적인 남편에게 점차 염증을 느껴가고 있었다.

 

'그제야 그는 안나에게 남편이 있다는 사실을 인식했다.
페테르부르크 사람 특유의 당당하고 위엄있는 모습을 갖춘, 둥근 모자를 쓴 카레닌을 보고 브론스키는 불쾌감을 느꼈다. 특히 허리 전체와 두 다리를 끌고 다니는 듯한 걸음걸이가 눈에 거슬렸다.' p53

'그이는 알고 있었어. 내가 결코 아들을 버리지 않을 것이며 버릴 수도 없다는 걸. 내가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살더라도 아들 없이는 행복할 수 없다는 것도. 또 내가 더러운 여자로 손가락질을 받게 된다는 것도.' p120

 

'우리는 모두 고통받기 위해 창조되었어. 사람들은 그걸 알면서도 자기를 기만하려 하지. 그러나 만약 진실을 보게 된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무얼 보더라도 끔찍하기만 하다면 촛불을 꺼도 되지 않을까? 하지만 어떻게 끄지?' p324

 

톨스토이는 안나를 비극적인 죽음으로 내 몰면서 '어떻게 사는 것이 옳은가'에 대한 자신만의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시대에 따라, 읽는 이에 따라 매번 바뀐다. 이 책을 읽어본 사람이라면 100년이 지난 지금에도 여전히 사랑받는 작품인 이유를 알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