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중국에서 자본주의를 만났다
신동원 지음 / 참돌 / 2012년 11월
평점 :
품절
나는 중국에서 자본주의를 만났다_ 중국의 숨겨진 진실
중국에 진출하는 기업인, 중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유학생, 중국시장에 비전을 둔 사업가 및 직장인, 중국에 막연한 관심이 있는 일반인, 중국에 무관심하지만 중국의 필요성을 느껴가고 있는 모든 분들이 중국을 이해하는데 밑거름이 되고 싶어하는 작가의 <나는 중국에서 자본주의를 만났다>.
중국에 막연하게 관심이 많은 한사람으로써, 무늬만 짜장인 밋밋한 짜장면처럼 8여년 동안 저자가 중국에서 몸으로 체험한 많은 지식들과 에피소드들을 엿보게 된 책으로 무섭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 사회주의의 탈을 쓴 자본주의 나라 중국의 실체를 알아본다.
중국과 한국의 수교를 한 지 올해로 20년이 되어간다. 한중수교 20년동안 우리가 본 중국은 어떠한가? 거대한 대륙의 중국을 우리는 바닷속에 잠긴 빙산의 꼭대기만을 보고 있는 건 아닐까? G2라 불리며 급속도로 발전해나가는 중국을 보면서 예나 지금이나 너무 가깝기에 너무 안일하게 대처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본다.
중국으로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상해의 와이탄 야경만 보더라도 예전에 못살더라, 싸더라 하던 중국이 아니다. 포춘 500대 기업중에 중국에 진출하지 않은 기업은 거의 없고, 글로벌 대학 순위에도 중국의 발전은 눈에 띈다. 언제부터인가 중국 명문대의 강의실에는 외국인이 넘쳐나고 있다. 콧대 높은 구글도 삼성에게는 1조원대의 소송을 벌이는 애플도 중국정부에게는 꼬리를 말은 개꼴이다.
불과 60년 전만해도 흰 쌀밥을 먹는게 부자였지만, 이제 흰 쌀밥에 일부러 잡곡을 섞어 먹으며 건강을 챙긴다. 지금 중국이 우리의 70,80년대를 지나고 있다. 백화점의 명품관을 통째로 사가는 중국부자들도 있지만, 14억이라는 어마어마한 인구의 상당수는 극빈층이다. 교육받지 못하고 충분히 먹지 못하는 이들에게 돈이 아닌 다른것을 강요하는 것 자체가 위선적일지도 모른다. 중국인민들의 삶이 궁핍함에도 중국정부는 세계 곳곳의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어마어마한 자본을 쏟아붓는다. 중국정부는 현재 인민의 삶의 질보다 미래 중국의 경쟁력을 선택한 것이다.
'아파트 엘리베이터에서 중국인 가족을 자주 만난다. 한번은 다섯살 즈음 되는 여자아이가 엄마와 영어로 대화하는 모습을 보았다. ~잘사는 중국인들은 어떻게든 자녀가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도록 도우려고 하고, 필요하면 미국으로 유학을 보내려는 계획도 가지고 있다.' p79
'성질 급한 한국사람들은 주로 그 회사의 핵심 경쟁력이 무엇인지를 가장 중점적으로 본다. 느낌이 오면 바로 큰 제안을 첫 미팅에서 하기도 한다. 하지만 중국사람들은 회사보다 사람을 먼저 검증한다. 상대방이 정말 빋고 협력할 수 있는 파트너인지 아닌지를 가장 중시한다. 그러다보니 중국사람들은 미팅 내내 관상을 보고 있고, 한국 사람들은 미팅 내내 실적과 현황에 집중한다. p149
일반의 경제경영서적은 읽기에 다소 까다롭다. 어려운 경제용어도 많이 나올뿐더라 경제에 관한 일반적인 이야기들이 많아서인데, <나는 중국에서 자본주의를 만났다>는 저자가 겪은 일들과 에피소드들이 많아 비교적 재미있고 쉬운 내용들로 구성되어있어 중국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도 좋은 참고서가 될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