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수의 정원 - 히틀러와의 1년, 그 황홀하고도 고통스런 기억
에릭 라슨 지음, 원은주 옮김 / 은행나무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히틀러의 파시즘 광기 _ 야수의정원

 

 

야수의 정원

-에릭 라슨지음

 

우리가 말하고 떠올리는 히틀러의 모습은 어떤 것일까? 그리고 히틀러 치하의 베를린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아무도 그의 무모함을 막을수는 없었던 것일까? 여러 궁금증을 해결해줄 책 [야수의 정원]은 미국의 논픽션 작가 에릭 라슨이 쓴 책으로, 히틀러가 막 정권을 잡은 1933년 베를린에 부임한 미국 대사 윌리엄 도드 그리고 그의 딸 마사가 겪은 지옥같은 1년간의 기록이다. 

 

히틀러가 수상의 자리에 오르고 국가가 용인하는 잔인한 폭력사태가 벌어지는 독일 대사관 직은 아무도 원치 않았던 자리가 되었다.  독일에 대해 잘 알지만 결코 전형적인 대사후보가 될 수 없었고, 꼬장꼬장한 학자스타일의 도드, 또한 우드로 윌슨의 추종자였던 그는 히틀러 정권에 미국의 민주주의를 불어넣을 수 있다는 희망을 품고 있었다. 그의 딸 마사는 언제나 남자들과 시시덕거리고, 상대의 나이를 막론하고 수많은 남자의 열정에 불을 붙인 바람둥이였다.

 

"우리가 독일에서 보낸 저녁 중 가장 행복한 저녁은 이날 저녁이었다고 나는 확신한다.

우리 모두 기쁨과 평화로 가득 차 있었다."
첫째날, 도드는 라이프치히 대학 재학 시절의 사랑했던 독일을, 마사는 매혹적이고 화려했던 독일 베를린의 첫 모습에 매료된다. 일과 결혼에서 해방관 스물네살짜리 젊은 여성에게 베를린은 흥미 그 이상이었을 것이다.

 

당시 세계 어느 나라도 히틀러의 본질을 꿰뚫지 못했다. 미국은 제1차 세계대전 후 ‘고립주의’를 내세우며 유럽 문제에서 한 발짝 물러섰다. 영국·프랑스는 1차 세계대전 같은 큰 전쟁이 또 일어날까봐 히틀러 눈치를 보는 데 급급했다. 독일이 독가스로 수많은 사람을 죽였음에도 독성 염소가스를 발명한 프리츠 하버는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의 비료, 화약제조를 가능하게 한 공을 인정받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낭만으로 가득한 나의 눈앞에..관료부터 일개 개인에 이르기까지, 아무도 도망칠 수 없는 스파이 행위와 공포, 가학증과 증로로 이뤄진 거대하고 복잡한 그물이 떠오르기 시작했다." p163

 

1년의 짧지만 긴 시간을 독일에서 보낸 도드와 독일의 분위기에 매료되어 히틀러의 최 측근들과 어울리며 히틀러 정권을 옹호하던 딸 마사는 주변의 사람들이 무수히 살해당하고서야 히틀러 정권의 위험성에 반감을 들어내며 히틀러 정권의 본성을 때닫고 환멸을 느끼게 된다. 마사는 기혼인 나치경찰 딜스,KGB의 전신인 소비에트 정보기관 KNVD의 공작요원 보리스, 러시아 외교관등의 염문설을 뿌리면서 , 러시아의 스파이활동도 참여한다.  마사 그녀의 회고록과 그녀 아버지의 일기장에서 인용한 부분들은 사실성을 더해주고 있다. 초반의 숨막힐듯한 외교전에 비해 갈수록 지루해지게 되는 후반이 조금은 아쉬운 책[야수의 정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