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학, 죽음을 말하다
정동호 외 지음 / 산해 / 2004년 5월
평점 :
품절
일생에 단 한번 외할머니가 돌아가셨을 때 나는 처음으로 죽은 자의 얼굴을 보았다.
죽은 할머니의 얼굴은 마치 잠들어 있는 것처럼 편안하고 자연스러워보여 나는 삶과 죽음을 갈라놓는 경계가 어디서부터인지 도무지 알 수가 없었다. 그 때 나는 슬프지도 않았고 눈물이 나지도 않았다. 아무런 느낌이 들지 않았다.
내가 슬프다고 느낀 것은 어느 날 문득 할머니가 보고 싶었을 때 아! 이젠 더 이상 볼 수가 없구나. 라고 느낀 순간이었다. 그 순간 할머니의 죽음은 현실로 다가왔고 나는 가슴을 찌르는 통증을 느꼈다. 죽음이 무엇인지 모르겠지만 할머니가 더이상 내가 있는 이곳에 없다는 자각 - 어딘가 내가 알 수 없는 곳으로 사라져 버렸다는 자각 - 그 단절의 느낌이 죽음에 대한 나의 첫 자각이었다.
죽음 - 인간은 그것을 알지 못한다. 죽어보지 않는 한 죽음에 대해 알 도리가 없다. 그러나 죽은 자는 말이 없다. 인간은 다만 죽음에 대해 생각하거나 혹은 생각하지 아니하거나 먼 훗날의 일로 제쳐두거나 무서움과 공포심으로 바라보거나 피라고 싶은 것으로 여기거나 할 뿐이다.
그러나 죽음은 인간을 제압하기도 하지만 때론 인간이 죽음을 뛰어넘기도 한다. 그 차이는 아마도 죽음과 대면하는 각자의 방식에 있을 것이다.
철학에 있어 죽음은 가장 근본적인 주제 가운데 하나다. 역사상 많은 철학자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죽음에 대해 고민하고 나름의 이해를 넓혀왔다. 그들의 고민과 성찰을 들여다보는 것은 결국 나 자신을 들여다보는 일이 될 것이다.
이 책은 서양의 소크라테스, 플라톤에서 동양의 장자와 공자까지 모두 12명의 철학가의 죽음관을 담고 있다.
그 중에는 죽음을 통해 삶의 무상함을 인식함으로써 삶의 고통을 치유하고 삶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본 쇼펜하우어가 있는가 하면, 죽음을 육체로부터의 영혼의 해방으로 본 플라톤도 있다.
하이데거는 죽음에 대한 불안에서 도피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죽음을 넘어서고자 했고, 야스퍼스는 죽음은 인간의 한계상황이므로 죽음과의 성실한 실존적 대결을 통해 죽음의 공포를 벗어나야 한다고 했다.
죽음에 대한 자신의 생각대로 삶을 마감한 철학자도 있다. 자살이야 말로 인간이 자기 삶에서 취할 수 있는 가장 적극적인 결단이라고 본 들레즈는 결국 자신의 주장대로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삶과 죽음을 평등한 것으로 본 장자는 부인의 죽음 앞에서도 평정심을 잃지 않았고,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신념대로 독배를 마셨다.
짧은 글 속에서 한 철학가의 죽음에 대한 성찰을 깊이 있게 들여다본다는 것은 무리가 있지만, 죽음에 대해 진지하게 묻고 고민하는 철학자들의 모습 속에서 수많은 사람들의 동일한 고민을 읽을 수 있다. 그들의 고민은 결국 나의 고민이기도 한 것이다.
죽음의 의미를 묻는다는 것은 곧 생의 의미를 묻는 것과 같은 것이다. 결국 철학자들이 죽음에 대해 사유하고 고민하는 것은 삶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에 대한 성찰에 다름 아닐 것이다.
개인적으로 나는 죽음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해 본 적이 없다.
어린시절엔 막연한 두려움과 공포의 대상이었고 종교라는 테두리 속에 있었을 때는 죽음은 또 다른 차원의 삶으로 인식되었다.
죽음 뒤에 또 다른 삶이 있다고 보는 것이 모든 종교의 공통적인 믿음인 듯 하다. 많은 사람들이 죽음이 가져다주는 공포와 불안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방법으로 종교를 선택하는 이유가 바로 그러한 믿음에 있다. 나는 그러한 수단으로 종교가 이용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내 고민은 언제나 삶속에 있어 왔다.
무엇이 제대로 사는 것인지 잘은 모르겠으나 끊임없이 삶의 의미를 찾고 내가 살아가는 이유를 묻는 것은 의미 없이 숨만 쉬는 삶이 죽음만 못 하다고 여겨지기 때문일 거다.
죽음보다 중요한 것이 삶이고 삶보다 중요한 것이 도라고 말한 공자의 말이 가볍게 들리지 않는 것도 그 때문일 거다.
나는 지금 죽음에 대해 생각해 보려 하고 있다. 단순히 사색에 그치는 차원이겠지만 문득 죽음이 궁금해졌다. 내 삶을 돌아보고 정리할 시간도 없이 순식간에 죽음이 찾아올지도 모르고, 예상하지 못했던 가까운 이들의 죽음을 목격해야 될지도 모른다.
내가 내 앞에 펼쳐져있는 삶에만 신경 쓰고 내 바로 뒤에서 항상 나를 따라오고 있는 죽음에 대해 너무 소홀했다는 자각이 문득 들었는지도 모른다.
나는 이제 삶의 의미를 다시 물어야 할지 모르겠다. 죽음의 의미를 다시 물음으로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