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생은 왜 50부터 반등하는가 - 브루킹스연구소 수석연구원이 찾아낸 행복의 조건
조너선 라우시 지음, 김고명 옮김 / 부키 / 2021년 8월
평점 :
왠지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이 떠오른다. 인간이 살아가면서 수행해야 하는 발달과제를 8가지로 나눈 이론인데 50세 정도면 중년과 노년 사이로써 특히 중년의 발달과제, '생산성 대 침체성'에 집중될 가능성이 큰데.. 이 부분을 떠올려 보며 읽어 본다..
'브루킹스연구소 수석연구원이 찾아낸 행복의 조건' 이라는 부제를 역시 묵상해보며 약 20년 뒤 나에게 찾아올 나의 50대를 어떻게 맞이할까? 라는 질문도 던져본다
아직 30대면 한창 청춘이고 젊은 나이지만 시간은 참 빨리 흘러갈 것이다.. 그리고 왠지 '나이 듦'에 대한 느낌은 부정적일 때가 많은 데 이번에 이런 나의 편견을 내려놓는 것을 연습해보자는 다짐을 해본다.
'브루킹스연구소 수석연구원이 찾아낸 행복의 조건'
부제에서 눈에 띄는 '행복'이라는 말.. 왠지 '나이 듦'과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생각을 해보는 나의 부정적인 마음...내 마음이 부정적인 거겠지? 라는 생각을 해본다
일단 내가 생각하는 행복은 '자존감'과 큰 연관이 있는데 자신의 가치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중요한데 '나이 듦'의 이미지는 '할 수 있는 것이 많이 없어지는 것'이라는 생각이 무의식 속에 강한 나..(아무래도 성취감 느끼는 것을 좋아하는 나의 성향이 뭍어난 것일까?)
참 서론이 길었지만 이래저래 다양한 생각을 해보며 읽어내려가는 '인생은 왜 50부터 반등하는가'
첫장부터 토마스 콜의 <인생여로>라는 예쁜 그림이 펼쳐진다.
∩이 아니라 ∪라고?
인간 발달과 인생 만족도에 대한 우리의 일반 통념은 ∩ 모양에 가깝다. 청춘은 인생의 절정이고, 중년은 위기의 시간이며, 노년은 심신이 모두 쇠퇴하는 황혼기라고 여긴다. 하지만 전 세계인을 대상으로 한 행복학 연구 조사에 따르면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 놀랍게도 사람들의 실제 인생 만족도는 그와 정반대인 "∪자" 패턴을 보인다. 40대에 최저점을 찍고 반등해 나이 들수록, 특히 50이후부터 오히려 행복도가 더 커지는 것이다. 우리의 막연한 예측과 실제 현실 사이에 엄청난 오차를 보이는 이 "행복 곡선"의 비밀은 대체 무엇일까?
이것이 인간의 인생 여로다. 삶은 행복으로 시작해 행복으로 끝나지만 두 행복은 성질이 전혀 다르다. 처음이 환희와 열기로 들뜬 행복이라면 나중은 고요와 내려놓음이 특징인 행복이다. 청년과 노인 모두 희망 어린 환영을 본다. 그러나 청년은 천공의 성을 보는 반면, 노인은 손짓하는 천사를 본다. 이와 대조적으로 중년의 눈에 보이는 건 온통 험악한 암벽과 사나운 물살뿐이다.
많은 사람들이 외치는 '중년의 위기', 책에서는 말한다..'위기'가 아니라 자연스럽고 건전한 "전환"의 과정이며 이는 노년기에 조금 더 삶의 행복을 바라볼 수 있기 위해 준비 되어가는 과정이라고 한다.
행복 곡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행복이 합리적이지 않고 예측 불가능하며 반드시 우리의 객관적 상황을 반영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알아 두면 좋다
중년의 위기에 하강하기 시작하는 '행복곡선', 일반화 시킬 수 없지만 대략적으로 나오는 행복에 민감한 사람들의 '심리'를 파악해가며 보여지는 다양한 연구들.... 그를 통해 조금 더 '인간의 행복'에 대해 깊게 이해해 볼 수 있는 서평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