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문 - 화보와 비하인드 스토리
마크 코타 바즈 지음, 이원열 옮김 / 북폴리오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요즘 책을 원작으로 한 영화들이 극장가를 장식하고 있다. 최근에 봤던 <로드>가 그렇고 트와일라잇 시리즈 두번째인 <뉴문>과 <셜록홈즈>등 원작을 넘어선 커다란 스크린만의 매력을 한껏 뽐내고 있다. 언젠봐도 그렇지만 책이 원작이라면 영화를 보기 이전에, 원작을 먼저 읽고 영화를 본다. 물론 반대로 영화를 먼저보고 책을 읽는 경우도 있지만 될 수 있으면 원작을 먼저 보는 편이다. 그런데 <트와일라잇> 시리즈는 예외였다. 영화가 나오기 전에 출간된 트와일라잇 시리즈를 무척 재미있게 읽었고, 에드워드와 벨라의 사랑이야기에 흠뻑 빠진 나머지 나만의 상상의 세계로 빠져버렸다. 책의 표지에 그려진 일러스트처럼 나도 나만의 에드워드를 머릿속에 새겨넣었다.이후 영화가 나왔고, 영화 속에 나오는 에드워드와 벨라의 모습은 내가 상상하던 그들의 모습이 아니었다.
 
소설의 매력은 독자가 머릿속에 그려놓을 수 있는 상상력을 부여하지만, 영화는 이미지로서 보여지는 상상력을 파괴한다. 오히려 상상력을 실존적인 물체로 만들어서 큰 스크린에 담아 놓지만, 나는 내가 그렸던 에드워드와 벨라의 로맨틱한 모습을 깨고 싶지 않아서 영화를 일부러 보지 않았다. 이와 반대로 나와 가장 친한 친구인 j는 영화를 먼저 보고 원작을 나중에 사서 읽었는데 영화가 더 재미있다고 했으니 각자 스타일에 따라, 매체에 따라 주는 즐거움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뉴문: 화보와 비하인드 스토리>는 <트와일라잇> 시리즈인 2탄 뉴문의 화보이자 영화의 제작현장을 담고 있다. 영화를 본 관객이라면, 로버트 패틴슨, 크리스틴 스튜어트의 팬이라면 읽어볼만 하지만 원작에서의 에드워드와 벨라를 그렸던 이들에게는 비추다. 우선, 이 책은 뉴문을 읽은 독자가 아닌 뉴문을 본 관객만이 느낄 수 있는 영상을 이야기 하고 있다. 제작 현장의 긴박한 상황이나 스테프니 메이어의 원작을 영화에 맞게 구성해 관객들을 기대감을 어떻게 영상으로 담을까 하는 고충이 담겨져 있다. 에드워드를 연기했던 로버트 패틴슨이 느꼈던 에드워드 컬렌의 모습, 크리스틴 스튜어트가 그린 벨라의 감정선이 각각의 장면에서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지를 캐치할 수 있는 현장보고서인 셈이다.

오래 전 모 배우를 좋아해 <2009 로스트 메모리즈 메이킹북>을 읽은 적이 있다. 지금도 곧 잘, 그 책을 들여다보며 영화에서 느끼지 못했던 배우의 감정이나 촬영기법, 영화를 만드는 사람들의 고충을 느낀다. 영화를 다시보면 그들이 생각하는 핵심 포인트가 있어 새롭게 보였다. 이 책 역시, 서점가에 불어닥친 뱀파이어의 열풍을 <트와일라잇>에 이어 <뉴문>까지 끌어오며 판타지적인 것을 CG를 통해 구현해내는 모습을 생생하게 바라볼 수 있었다. 영화를 보면서 저런 기법은 어떻게 했을까? 하는 궁금증을 가진 독자라면 <뉴문: 화보와 비하인드 스토리>를 재미있게 읽을 것이다. 위에서 말했던 것처럼 배우를 좋아하는 팬에게도 이 책은 보너스 트랙 이지만 영화를 보지 않는 독자에게는 재미를 느끼기 이전에 영화를 먼저 보는 것이 더 이득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