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브 1
모리 에토 지음, 오유리 옮김 / 까멜레옹(비룡소)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다이빙? 모리 에토의 작가의 <다이브>를 읽고 있으니 베이징 올림픽에서 봤던 한 장면이 떠올랐다. 박태환 선수의 시합을 보려고 티비를 틀다가 보게된 모습은, 수영처럼 긴 레이스의 시합도 아닌 짧은 순간에서의 낙하였다. 1.4초 동안 다이빙 대에 올라선 소년들의 이야기는 마치 자신들의 인생에서 '다이빙'을 떼놓고는 살 수 없는 사람들이었다.

미우라 시온의 <바람이 강하게 불고 있다> 만큼이나 읽고 나니 마음에 훈풍이 불었다. 나도 모르게 입꼬리가 올라가며 눈시울이 붉어졌다. 요이치, 사부키, 도모키 세녀석의 다부진 노력은 누가 올림픽 티켓을 따느냐보다는 그 순간 얼마나 최선을 다해 다이브를 했냐는 것이다.


" 하지만 그건 다이빙만 그런 게 아니라 무슨 일이든 다 그래요. 시부키 형은 넓은 곳에서 자유롭게 살아욌는지 모르지만, 우리는 하루하루 늘 누군가에게 채점당하면서 살아요. 풀만 그런 게 아니라 우리가 가는 곳곳마다 심사 위원들이 있고, 그렇게 하면 앞으로 잘 살 수 있다는 모범 답지가 있다고요. 설명은 잘 못하겠지만 어쨌듯 난 그런 것들을 다이빙으로 뛰어넘고 싶어서 시합에서 이긴다든가, 만점을 받는다든가, 그런 게 아니예요. 언젠가 나만의 순간, 최고의 순간, 모든 걸 뛰어넘는 순간이 반드시 온다는 믿음을 갖고 뛰는 거예요." - p. 156

세 녀석들을 보고 있으니 지금은 쉬고 있지만, 작년 운동을 하면서 느꼈던 점이 하나 있었다. 처음 배울 때 호기심과 재미를 넘어서면 어느 순간, 노력을 하지 않으면 안 될때가 있다. 이제는 운동에 대한 재미가 아니라 땀방울을 흘리며 깊이 파고들어야 하는 순간, 그 순간을 넘기지 못하면 나는 계속 '제자리걸음'으로 바퀴를 돌리고 있는 것이었다.

똑같은 출발선이라 할지라고 운동을 하다보면 누군가는 몸이 유연해서 그 동작을 잘 따라하지만 누군가는 뒤처진다. 감각이라 해야 할지, 타고난 것이라 해야 할지....아쉽게도 나는 몸치에 가까워서 다른 이들이 몇 번만 하면 익히는 동작을 한 달이상 반복했던 적도 있었고 극복을 못한 동작도 있었다. 그래서 뛰어난 세녀석의 감정을 이해하면서도 몹시 부러움의 시선으로 지켜보았다.

운동을 했을 때 선생님이 항상 하시던 말씀이 있었다. '땀은 절때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흘리는 땀방울에 따라 실력이 바뀌는 것처럼 요이치와 시부키의 우월한 유전자에 비해 자신의 열정과 재능을 꾸준히 연습한 도모키의 모습이 절로 연상되었다. 자신의 한계를 넘는 것, 누군가가 노력하지 않는 그 시간에 자신을 던지는 무언가. 그건 아마도 우리가 부르는 '열정'이라는 말일 것이다.

그것이 비단 운동선수 뿐만 아니라 삶에 모든 것이 그렇게 비춰지듯 다른이들과 경쟁하는 것과 더불어 나 자신과의 싸움일 것이다. 도무지 답이 나오지 않는 상황에서 몸을 쓰고, 다듬고 다듬어서 하게 만드는 것. 자신의 의지이면서 한계가 아닐까.

요즘 무언가를 잃어버렸다는 상실감을 갖고 있던 요즘 모리 에토의 <다이브>를 읽으면서 잃어버린 무언가를 다시 찾게 되었다. 나는 지금 나의 한계에 부딪혀 있다. 누군가 도와줄 수 없는 나만의 한계를 도전하면서 부딪치고, 싸워야 하는 것임을 나는 잘 알고 있음에도 웅크리고 있는 것이다. 온 몸에 열이나도 끝까지 시합에 임했던 요이치의 모습이 오버랩되며, 아픈 허리에도 불구하고 다이빙을 놓지 않았던 사부키의 모습이, 그 누구도 할 수 없었던 다이아몬드 눈동자를 가진 도모키가 4회전 반을 넘어선 것처럼 나또한 놓치지 않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