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빠가 돌아왔다 김영하 컬렉션
김영하 지음, 이우일 그림 / 창비 / 200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책장에서 읽을 책을 고르면서 아끼고, 아꼈던 소설을 하나 집어 들었다. 이 소설을 쓴 소설가는 현재 국내에 거주하지 않고 있고 나는 한참 그의 글에 맛을 들이고 있다. 천천히, 그의 책을 음미하며 모르려고 했는데 몇 권의 책이 품절과 절판이다. 덕분에 조급하게 사들이고, 그가 뉴욕에서 한국에 올때까지 천천히 아껴가며 읽어가고 있다. 여행기에서 산문집으로, 영화이야기까지 겉면이 아닌 그가 쓰는 작품속으로 쏙.쏙. 들어가 볼 요량으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사실, 이 책을 읽은지 한달이 넘었다. 경쾌한 제목답게 가볍게 시작했는데 어쩐지 그의 글은 읽다가 접어둔 성석제 작가의 책에 나오는 인물과 같은 모습들이 담겨져 있었다. 자칫, 엉뚱한 사람들. 모자란 사람들, 콩가루 집안 이야기등 다양한 인물과 삶들을 그려내고 있다. 그 중에서도 책을 대표하는 단편인 <오빠가 돌아왔다>를 가장 재미있다.

그의 글은 맛깔스럽다. 어슬렁거리는 소설가를 이야기 할 땐 작가 자신을 말하는 것인가 하는 오묘함이 들기도 했고, 타인을 바라보듯 냉소적인 시선은 나와 타인의 삶 사이에 강을 건너지 않는 관조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그의 단편을 다 읽고 나니 소설에 관한 평론들이 가득 써 있는데 그 부분이 나는 더 어려워 소설을 읽은 만큼 정독하지는 못했다.

작년에 완독하지 못했던 성석제 작가의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가 생각날 만큼 그의 책은 남이 볼땐 모자라고, 황당하고, 어수선한 사람들의 이야기다 보니 큭큭 웃기 보다는 '어허! 난해한 삶을 사는 사람이로고!' 하며 머리가 띵한듯 심각하게 쳐다보게 된다. 내 안의 개그본능이 없는지, 아님 가볍게 터치하는 것이 싫은지 모르겠지만 성석제 작가의 책은 완독을 하지 못했고, 그의 책은 고개를 갸우뚱거리며 완독했다. 조금은 알쏭달쏭한 모습으로 다가오는 이 책은 그의 책을 좀 더 읽은 후에 평가 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