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
조지 오웰 지음, 김기혁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조지 오웰의 <1984>를 읽었다. 세계문학전집 컬렉션을 탐내며 천천히 하나둘씩 모으고 있었다. 보고 싶은 문학부터 한 권씩 읽는 와중에 이 책을 만났다. 요즘 무라카미 하루키의 신간소설인 <1Q84>가 나오면서 동시에 조지 오웰의 <1984>가 연상되었다. 제목에서 뿐만 아니라 하루키가 조지 오웰의 소설 <1984>를 토대로 썼는지 띠지에는 그의 책을 읽으면 <1984>가 궁금해지는 소설이라고 했다. 나는 하루키의 <1Q84>를 읽어보지 않았지만 그의 소설이 무척 궁금했다. 그가 제목으로 내세운 년도는 내가 태어난 해이기도 해서 서점에 갈 때마다 세계문학전집 컬렉션을 꽂아놓은 서가를 보며 잊지않고 찾아보던 소설이기도 했다.

나의 예상과 달리 <1984>의 내용은 그야말로 고전이라고 일컫을만큼 거침없는 필치로 쓰여져 있다. 마치 오래전에 봤던 <트루먼쇼>가 떠올랐을 만큼 그가 표현한 가상세계는 강력하다. '텔레 스크린'에서 울려 퍼지는 목소리는 계속해서 무언가를 주입시키고 세뇌시킨다. 언제, 어디선가 나를 지켜보고 있다. 다른 생각은 전혀 할 수 없는 단계속에서 주인공인 스미스는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에서 기억나지 않는 의식의 실체를 찾아 기록하며 자유를 찾아 나선다. '허용'이라는 말을 쓸 수 없을 정도로 최악의 사태임에도 스미스는 작은 행동들을 하려고 노력한다. 마치 자신이 죽은 후에라도 지금의 현실을 그대로 노트에 옮기는 것처럼 보였으며, 때로는 스미스의 행동이 저자 자신을 투영하는 것 같았다.

<1984>에서 보여지는 세계는 우리의 과거의 모습, 현재의 모습, 미래의 모습이 혼합된 세계를 보여주었다. 조지 오웰이 1948년에 쓴 소설이 놀랍게도 과거의 모습을 거울삼아 보여지는 이 책은 현재의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와 비슷한 점이 많아 흠칫했다. 특히 텔레 스크린의 설명은 현재 우리의 삶에 깊숙히 파고든 미디어의 실체에 대해 강력히 경고하고 있다. '진실'은 어디에 있으며 미디어의 영향속에서 '진실'이 모호해짐을 느끼고 있던터라 조지 오웰의 소설이 더 실감나게 다가왔다.

텔레 스크린, 빅 브라더 타도, 전쟁은 평화, 자유는 굴종, 무식은 힘이라는 글귀가 반복되어 눈앞에 펼쳐진다. 스미스 또한 그것들에 대해 자유로울 수 없었다. 책을 펼쳤던 처음과 달리 점점 더 잠식되어가는 보며 진저리가 쳐질 정도로 잔인하고 악랄하게 인간의 본성이 나타냈다. 나만 아니면 된다는 이기적인 본성. 과거와 현재사이에서 꿈틀대던 상황은 어느새 사라지고, 주입식 교육은 2+2=5가 답이 아님에도 그렇게 믿는 인간의 한계를 그린다. 절망이라는 단어가 머릿속에 맴돌정도로 책을 읽는 동안 암울했다.

조지 오웰을 처음 접하는 나로서는 이 책이 충격적으로 다가왔다. 왜 그렇게 많은 사람들의 입에 회자되었던 책인지 새삼 깨닫게 되었다. 다만, 이 책을 읽으면서 사상에 대한 표현이나 글의 흐름이 매끄럽지 않아 여러번 읽고서야 해석이 되었다. 다른 표현을 했더라면 좀 더 세련되게 다가오지 않았을까 할 정도로 의미를 이중으로 파악해야 하는 부분이 많았고, 의미적으로 축약된 단어들을 많이 사용한 터라 사전을 보며 의미를 해석했던 부분이 많아 그 부분이 무척 아쉽게 다가왔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1984>는 꼭 읽어야 할 필독서임에는 틀림없는 좋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