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중지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눈먼 자들의 도시>로 유명한 작가 주제 사라마구에 대해서 귀동냥으로 여기저기서 자주 들어 무척이나 익숙한 작가였다. 그의 작품을 접한 적이 없는 무지한 독자라도 그의 작품은 익숙하게 들어왔다. 그의 작품을 원작으로 영화화까지 된 <눈먼 자들의 도시>의 익숙함과 따옴표 없는 그의 불친절함이 사람들 입에 오르내렸는데 그 불친절함을 <죽음의 중지>를 통해 처음 그의 작품을 만났다.

다음날, 아무도 죽지 않았다로 시작된 이야기는 시종일관 따옴표 하나 없는 빼곡한 문장으로 나를 맞이 했다. 그의 작품 세계에 처음 발을 들인 독자는 "허걱!" 하는 탄식을 내뱉으며 '죽음'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맡닥들였다. 사람이 살고 있는 세상이라면 자연의 이치처럼 죽고, 사는 것이 당연한 이치처럼 받아들이는데 그는 '죽음'의 '중지' 를 시켜 책을 읽는 내내 길을 잃듯 혼란 스러움에 빠져 들었다.

단 한번도 죽음에 있어 '중지'라는 단어를 접목해 본 적이 없었다. 사람이 죽지 않고 살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은 가끔 해봤지만 그건 만약이라는 가정을 해놓은 상상일 뿐 이었다. 어느날 갑자기 한 사람도 죽지않는 사태가 발생하는 그런 나날을 사라마구 할배의 책을 통해 생각해 보았다. 책을 덮고, 눈을 감았다. 내가 살고 있는 나라에서 아무도 죽지 않는다. 하지만 경계선을 넘으면 여전히 죽음이란 존재하는......나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은 먹는것, 자는 것처럼 공기와 물과 햇볕이 자연스레 내리 쬐는 것 만큼이나 자연스러운 것들이 흩으러지면 사람들은 불안에 떤다. 

죽음 또한 마찬가지가 않을까? 죽음을 앞두고 있는 나이든 어르신 뿐만 아니라 책에서 나온 것 처럼 죽음을 가까이 하는 직업을 갖는 종사자들과 그 업계들이 혼란이 온다. <죽음의 중지>는 '시작과 '끝'이 아니기에 언제 또 죽음이 시작 될지 모르는 불안감을 안고 살 것 같다. 어릴땐 브라운관에서 귀신 역활과 함께 검은 옷을 입고 나타나는 저승사자의 모습도 무척이나 무서웠던 기억이 난다. 그만큼 '죽음'이라는 단어는 깃털처럼 가볍지 않은 주제이지만 주제 사라마구 할아버지는 그 무거움의 주제도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는 소재가 되다니 그저 놀라울 뿐이다.

따옴표 없는 불친절함은 알아왔지만 알고 있는 것과 직접 접하는 건 천지차인가 보다. 책을 읽다가 눈이 뻑뻑했고 또한 인물들의 대사인지 속마음인지 작가의 설명인지 구분하느라 머릿속이 바빠졌다. 바로 이런 것이 그의 작품의 맛이구나 하는 생각을 하니 그의 책을 읽는 내내 만만찮지 않음을 다시 인정하게 되었다. 그의 첫 작품을 만나는 것으로 의의를 두고 다시 <죽음의 중지>를 재독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유명한 작품 <눈먼 자들의 도시>도 꼭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을 하며 책장을 덮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