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센트 2 Medusa Collection 8
제프 롱 지음, 최필원 옮김 / 시작 / 2009년 2월
평점 :
품절


 책 표지 뒷면에 <디센트>의 책을 소개하는 몇 줄이 담겨져 있다. '깊이를 알 수 없는 지하세계, 대륙과 해양으로 뒤럭힌 거대한 미궁에서 한때 위대했던 고대 헤이들 문명의 흔적이 발견된다. 인간의 두개골로 화환을 만들어 두른 짐승의 입, 죄악에 갇힌 인류의 모습을 담고 있는 벽화.......단테의 <신곡> 지옥편과 일치하는 유적에 사로잡힌 예수회 학자들은 지하세계로 탐사를 떠나고, 아틀란티스 만큼이나 어마어마한 문명을 마주한 순간 끔찍한 살인이 시작되는데......' 5줄의 간단한 소개글에도 알 수 있듯이 <디센트> 자체가 어마어마한 스케일을 자랑하고 있다.

책을 읽기전 커다란 스케일의 소설이라 반했고, 또 그 커다란 스케일의 책이 두려웠다. 저자는 학창시철부터 단테, H.G웰스, 보르헤스를 읽으며 꿈을 꿨다고 했는데 그가 읽을 책을 토대로 그가 에베레스트 산을 투어 가이드한 경험을 살려 한편의 작품을 작품을 완성하게 되었는데 디센트를 읽어보면 작가의 경험이 묻어져 나오는 듯한 경험들이 책 속에 그대로 나타나있다. 첫 장면인 히말라야 트래킹에서 부터 시작되는 이야기로 시작된다. 한 명씩 실종되는 사람들 속에 사람들의 죽음과 시체에 관한 묘사는 음습하면서도 몸이 섬짓해진다.

에베레스트 산을 이야기 하면서도 그는 가장 깊은 곳의 땅속을 이야기하는데 지하 동굴의 판타지를 이야기 하고 있는 <터널>과는 다른 더 깊은 심연의 세계를 이끈다. 요즘 한창 쥘베른의 책에 관심이 있는 터라 지하세계에 더욱더 관심이 있었는데 디센트를 쓰기전 작가가 참고한 책을 보면 그 면모가 훨씬 더 장엄하고 그 깊이가 더 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책을 읽다보면 그가 영감 받았던 책 속의 구절이 나오곤 하는데 그 소설 말고도 단테의 <신곡>, 밀턴의 <실락원>,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앨리스 터너 <지옥의 역사>가 그에게는 <디센트>를 쓰는데 큰 영감을 주었다.

광활한 스케일과 어두컴컴한 지하세계의 이야기를 좀 더 깊이 파고들 지식의 깊이는 얇은 책 읽기를 하는 나에게는 모티브의 원전이 되는 책을 이해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의 숨은 1인치를 찾아 낼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예전에도 단테의 <신곡>을 모티브가 섞였던 <장미의 미궁>을 읽으면서 몇 일 고전을 했는데 이 책또한 그런 느낌을 받았다.

요즘들어 더욱더 SF 스릴러, 판타지 책들을 많이 만나게 되었다. 아마도 어릴때 판타지에 대한 재미를 느껴보지 못했던 것을 성인이 된 지금에서 그 재미를 톡톡히 느끼고 있다. 재밌는 책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주제를 가지고도 쉬이 지나치는 것 같아 무척 아쉬웠다. 소설의 아쉬움 보다 더 그것을 느끼지 못한 독자의 큰 무지가 큰 걸림돌이라니...... 이 책을 읽고 나서 좀 더 많은 작가가 차용한 모티브가 되었던 책을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좀 더 많은 책을 접한 후에 다시 한번 차근차근 이 책을 접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