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인욱의 고고학 여행 - 미지의 땅에서 들려오는 삶에 대한 울림
강인욱 지음 / 흐름출판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끝과 시작에서 만나는 새로운 세계의 이야기.


 영화의 이미지 때문인지 고고학자라고 하면 굉장히 스펙타클한 모습만 떠오른다.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시간 속에 묻어둔 것들을 깊이 파내고, 또 파내는 삽집을 한 후에야 비로소 그 시간 속의 유물들과 비로소 접선하게 된다. 어려운 느낌과 동시에 우리와 동떨어져 있는 것 같아 강인욱 교수의 <고고학 여행>을 읽으면서 그가 출현한 '차이나는 클라스'를 찾아 보았다. 몇 개의 클립을 통해서 봐서 그런지 전체적인 맥락을 다 그릴 수는 없었지만 책에서 보여지는 고고학의 재미와 감동을 엿볼 수 있었다.


시대를 불문하고 강인욱 교수는 유학 때 경험했던 프로젝트들을 재미있게 설명해 놓았다. 시대가 멀수록 거리감이 느껴져 그 시대 때 살았던 사람들의 복장이나 풍습, 장례문화 까지도 배웠음에도 잊혀지곤 했다. 우리의 역사와 가장 가까운 시대는 조선시대다 보니 고증이나 남아있는 유물면에서도 바라보기가 쉬워서 그런지 책이나 영화, 드라마에서 쉬이 다루어졌다. 반면 태초의 시대의 모습은 고증하기도 어렵고, 당시 살았던 이들의 모습을 커다란 스크린에서 그리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라서 그런지 많은 매체에서 다루지 않는다.


고고학의 인상이나 우리가 보지 않았던 시대의 유물들을 보여주는 동시에 역사책에서도 느끼지 못했던 시간들을 강인욱 교수는 복원해 낸다. 누가 문명은 짧고 인생은 길다고 했던가. 고고학자의 많은 시행착오와 헤프닝, 유물을 둘러싼 많은 이야기들과 파괴와 복원 사이에서의 줄다리기는 그는 서슴없이 잘 그려낸다. 무엇보다 시간을 탐험하는 동시에 살아있던 이들과의 만남이 그에게는 또다른 인생공부가 된 것인지 고고학을 넘어 인문학적 관점으로 설명을 하기도 한다. 그래서 때때로 이 책이 고고학 여행인 동시에 자기 계발서의 느낌도 받았다. 동시에 여러 느낌을 주는 책이어서 짧은 챕터 속에서 보여지는 유물들과 그들을 둘러싼 배경이 흥미롭게 다가왔다.


많은 챕터 중에서 가장 흥미롭게 읽은 부분은 색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었던 여섯 번째 챕터가 가장 인상 깊었다. 고고학 발굴에 있어서 시간의 무게를 가장 견디기 힘든 것이 색채라는 이야기에 더 귀를 기울였던 것 같다. 어쩌면 시간의 흐름을 가장 잘 따르고 있는 것이 색채이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색감은 바래지고, 바래진 그것들을 고고학자는 찾아 시간의 흐름을 유추해 내는 것은 아닌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열 세번째 챕터인 전쟁 속의 고고학도 재밌게 읽었다. 원형 그대로 나두는 것이 어쩌면 유물이 가장 안전하게 보존하는 것이지만 전쟁과 공통적으로 고고학을 연구하는 것 역시 파괴한다는 점에서 같다는 강인욱 교수의 이야기에 공감이 갔다. 연구와 발전은 최근에 읽었던 책 커크 월리스 존슨의 <깃털 도둑>(2019, 흐름출판)과 맥을 함께 한다. 인류의 문명을 위해 연구하는 것이지만 부정적인 측면에서는 그들의 문화를 침해하는 일이 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그들은 최소한으로 문물을 건드리며 연구를 하는 것이 그의 일이 아닌가 싶다.


책을 읽는 내내 영화 속의 이미지만을 그렸던 고고학자의 면면을 새롭게 읽고, 답습한 느낌이다. 그들의 생생하고 다양한 일들을 더 깊이 파헤치고 시공간을 넘어 긴 여행을 다녀온 건 같다. 더 깊이, 온전한 역사의 진실을 느낄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


고고학자에게 유물이란 다시 살아난 기억의 편린입니다. 이렇게 죽음을 통하여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것, 그것이 바로 고고학입니다. - p.10


시간여행을 꿈꾸는 인간의 판타지는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고고학이 발달해서 사람들이 꿈꾸던 찬란한 과거 같은 건 없다고 밝혀진다 해도 혹은 인류가 바라마지않는 미래는 결코 오지 않는다고 해도, 사람들은 여전히 시간여행을 꿈꿀 것이다. 그 이유는 지금이라는 현실에서 도피하고자 하는 인간의 본능과 색다른 시공간을 경험하고 싶어 하는 호기심에 있다. - p.26


나무는 그 원형을 유지한 채 땅속에 묻히면 서서히 사라진다. 하지만 숲은 그 원형을 고스란히 간직할 수 있다. 6000년 전 빗살무늬토기의 불새는 불에 땀으로써 지금 다시 고고학자들에 의해 부할할 수 있었다. 타고 남은 재에서 다시 타오를 불에 대한 희망을 찾듯 고고학자들도 과거의 역사를 밝히기 위해 유물을 찾아 고궁분한다는 점에서 뭔가 동질감이 느껴진다.


바쁜 일상에 치이다 보면 삶의 목표라든가 이정표 같은 것들이 더는 의미 없게만 느껴질 때가 종종 있다. 불꽃처럼 타오르는 화려한 삶을 꿈꿨지만 실패하고, 꿈은 꿈인 채로 남아버린 것만 같을 때 우리는 스스로에게 실망하고 삶에 좌절한다. 그리고 자신의 한계를 규정지어 버린다. 이제 내 생은 더 이상 특별하지 않다고. 하지만 정말 중요한 것은 화려한 겉모습이 아니라 자기 안의 뜨거운 열기를 꺼트리지 않는 것이다. 불과 재는 둘 다 뜨거운 열기를 품고 있다. 단지 형태만 다른 뿐이다. 내 안에 아무것도 남아 있지 않다고 여겨질 때. 재 속을 헤집듯 자기 안을 천천히 들여다보아야 한다. 모든 것이 끝났다고 생각될 때 모든 것이 새로 시작된다. - p.54~5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