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의 열기
가르도시 피테르 지음, 이재형 옮김 / 무소의뿔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희망이라는 이름으로


 무엇으로도 가르지 못하는 것이 '희망'이라는 이름일까? 가르도시 피테르의 <새벽의 열기> 속 미클로스는 헝가리의 홀로코스트를 겪고 살아났다. 스웨덴의 한 재활센터에서 치료를 받던 중 그는 난치성 결핵 판정을 받고도 6개월의 시간을 허투루 보내지 않는다. 그가 홀로코스트를 겪지 않았다면 평범하게 살았던 시간들을 떠올리며 생각들을 실천에 옮긴다. 짧은 시간이지만 결혼도 해보고 싶다는 한 남자의 소망아래 헝가리 남자는 신붓감을 찾기 위해 117명의 헝가리 여자들에게 똑같은 편지를 보낸다. 그의 손을 잡아줄 누군가가 있을까 싶으면서도 희미한 동아줄을 잡아줄 누군가가 나타나기만을 기다리던 그에게 드디어 한 여자가 나타난다.


그렇게 인연이 시작되었다. 헝가리 남자 미클로스와 헝가리 여자 릴리의 편지가 서로 오간다. 누군가는 그 시간을 낙담만 하며 보냈을 시간에 미클로스는 절박한 사인을 보내고, 누군가가 보내온 동아줄의 당김에 그는 있는 힘껏 손짓과 발짓을 더해가며 사랑의 끈을 놓치지 않으려고 한다. 가르도시 피테르의 첫 소설이자 직접 영화로 만들었던 작품이다. 시한부의 삶을 그린 영화나 책을 즐겨읽지는 않지만 의도치 않게 개인의 삶이 망가지고, 그로인해 모든 것들이 산산히 무너진 한 남자의 처절한 이야기가 마음에 콕 하고 박혔다.


몇 주전 TV 채널을 돌리다가 6월 특집으로 한 채널에서 '밴드 오브 브라더스' 전편을 보여준 적이 있었다. 드라마를 전부 다 보지 못했지만 전쟁이 끝에 다다갔을 때 미군이 찾은 수용소를 적나라 하게 보여준 장면이 아직도 잊혀지지 않았다. 언제 어떤 영화를 봐도 그들에게 가해지는 삶의 끝에서 살아난 미클로스의 절망과 자유, 다시 살고자 하는 삶의 의미들이 그 어떤 이유를 막론하고 눈에 들어왔다. 책에서 보여지는 그의 모습이 때때로 이해가 되지 않고, 이기적인 면모가 보이지만 그 순간을 차치하고도 그는 짧은 시간에 그려낼 사랑과 결혼, 행복을 꿈꾸었다.


1945년 9월부터 1946년 2월까지 릴리와 편지를 주고 받다가 결혼식을 올린 두 사람의 결실이 그들의 역사를 알렸다. 얼마나 다행인지 영화같은 실화의 이야기가 더 영화 같아서 감동적이었다. 책에이어 영화도 보고 싶은 이야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