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옷
사토 야스시 지음, 양억관 옮김 / 잔(도서출판) / 2018년 9월
평점 :
절판


반짝반짝 빛나는

 

 시간이 지나고 나니 그 시절이 참 좋았다, 라고 생각하지만 다시 그 시간을 걷는 다면 나는 그 시절의 아름다움은 느끼지 못할 것 같다. 지나간 시간은 아무리 힘들어도 사람들의 추억이 되고, 기억 속 어딘가에 차곡차곡 쌓여 삶의 원동력이 되기도 하고 때때로 묵은 원한이 되기도 한다. 기억 속에서 즐거웠던 기억 보다는 슬프고, 속상했던, 아릿했던 시간 속의 이야기를 풀어내며 자신이 어렵게 살았음을 토로하며 지난 시간을 회한 하기도 한다. 케케묵은 시간 속의 이야기지만, 다시 들어도 늘 똑같은 레파토리의 이야기지만 그들의 기억 속 시계는 늘 그때 그 시간에 머물러 있는 것 같다. 돌이켜 보면 하지 말아야 되는 것, 시도를 해보았음직한 일들, 실패을 맞이한 청춘들의 시간에 머물러 있다.


사토 야스시의 <황금옷>은 여타 일본의 소설과 마찬가지로 잔잔하면서도 잘 읽힌다. 가장 아름다우면서도 가장 육체적으로도 왕성한 그들은 꾸미지 않아도 황금옷을 입고 있지만, 그 시간을 사는 이들이에게는 자신이 가장 아름다운지 자각을 하지 못한다. 어쩌면 모든 것이 서툴러 늘 물 속에서 헤엄을 치면서도 몇 번이나 헛발질을 하며, 물을 먹고 나서야 정상적인 궤도에 오른다. 모험을 하기 보다는 안정적인 생활을 원했던 나는 어렸을 때도, 지금에도 변한 것이 없다고 생각하지만 다시 그 시간을 돌아간다면 안정을 추구하는 삶을 살지는 않을 것 같다.


반짝반짝 빛나는 시간이 점점 짧아지면서 이제서야 '청춘'의 의미를 몸과 마음으로 깨닫게 되었다. 예전에 어른들이 '너희 때 나이가 가장 좋을 나이다~'하며 부러운듯이 아이들의 모습을 지켜본 적이 있는데 그때 왜 그런 말을 했는지 지금에서야 그 의미가 속속 되새겨진다. '아프니까 청춘이다'라고 말하지만 그 열병을 지난 사람만이 알 수 있는 말이고, 감정이다. 파도의 한가운데서 미치도록 발장구를 치는 아이들에게는 먼 바다의 수평선을 내다 보는 것처럼 끝이 보이지 않을 것이다. 사토 야스시는 그런 청춘의 아프고, 슬프고, 이리저리 치이며 공허하지만, 때로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며 생활하는 이야기가 실려있다. 오다기리 죠와 아오이 유우가 주연한 '오버 더 펜스'를 시작으로 2편의 이야기가 더 담겨져 있다.


잔잔하면서도 섬세한 이야기들. 조용하지 않으면 들리지 않을 그들의 목소리가 숨겨져 있어 읽는 내내 차분하게 앉아 작가의 이야기를 읽었던 것 같다. 그들의 몸짓이 결코 반짝반짝 빛나는 인생이라 볼 수 없을지 모르지만 청춘이라는 것이 바로 이런 색깔을 띄고 있는 것이다, 라고 말하고 있는 것 같다. 처음 만나는 작가지만 비운의 작가로 일컫는 그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청춘의 희노애락이 느껴졌던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