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실격 새움 세계문학전집
다자이 오사무 지음, 장현주 옮김 / 새움 / 201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도자기같이 깨질듯한 마음 속의 작은 마음.


 잔잔한 호수에 돌을 하나 던지면 수면 위에 퐁당하고 떨어지는 물의 파문들이 이리저리 흔들린다. 수많은 물결 속에서도 돌이 미치지 않는 구역까지도 파르르르 진동이 오는 것처럼. 다자이 오사무의 <인간실격>을 2년 전에도 한 번 읽어봤지만 도저히 주인공인 오바 요조의 마음 속 깊이 빠져 들지 못했다. 결이 다른 사람이라는 표현 밖에 할 수 없을 정도의 이중성 혹은 양파처럼 계속 까도 까도 더 깊이 절망하고, 움츠러드는 식물 같다. 속과 안이 다른 사람으로 좋은 쪽으로 생각하면 섬세함의 끝판왕이지만 나쁜 쪽으로 보자면 이보다 더 예민할 수가 있을까 싶을 정도로 모든 바람에 흔들리는 사람이다.


그런 이중적인, 삼중적인, 사중적인 불안이 당시의 젊은이들에게 마음의 위안을 주었다지만, 나에게는 그런 그의 모습이 난해하기까지 하다. 무엇이 그를 그토록 겉과 속이 다를까 싶기도 하고, 실제 작가인 다자이 오사무의 부유한 환경처럼 주인공 요조도 돈과, 술, 담배, 여자등 그 무엇하나 부족함이 없었다.겉으로 승승장구 했던 일본이 태평양 전쟁 후 패전을 맞으면서 일본의 사회는 급격하게 나빠진다. 그런 일본의 내면을 그린 소설이다. 우리가 갖고 있는 기질과 다른 일본인들의 인식과 마음들이 요조의 생각들 속에 묻어 나있다. 다자이 오사무의 작품인 <인간실격>을 이해하려면 무엇보다 작가인 다자이 오사무에 대한 이력을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의 삶이 어쩜 요조와 닮아 있는지 그의 내면 세계를 복사하듯 주인공에게 투영되었기 때문이다.


역자 후기에서 말한 것처럼 <인간실격>을 좋아하는 이들과 도저히 이해를 할 수 없다는 이가 있다고 했는데 나는 이 책을 두번째 읽음에도 도저히 그의 이야기에 깊이 동조를 할 수 없었다. 갖고 있는 기질이 달라도, 이해를 할 수 면은 있을텐데 유독 다자이 오사무의 책은 무던한 사람보다는 마음이 섬세하고 섬세한 이가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책이다.


나와는 달리 아쿠다가와상 수상 작가이자 개그맨인 마타요시 나오키는 <인간실격>의 매력에 빠져 다자이 오사무의 이 작품을 100번을 읽었다고 한다. 책을 읽을 때마다 줄을 그었더니 줄이 그어지지 않는 페이지가 없었다는 이야기가 굉장히 인상 깊었다. 세상에는 수 많은 책이 있고, 그 책을 좋아하는 이들이 있는데 <인간실격>을 읽고 도무지 이해가 안되 책을 덮는 이가 있다면 누군가는 수백번을 읽고, 또 읽어도 마음에 남는 이가 있나보다. 그가 책을 읽고 평한 이야기가 있어 그의 글을 함께 옮겨 놓는다.


인간이 각자 가지고 있는 아픔에 대한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엄청 순수하고 성실한 소녀의 치통, 그리고 악인의 치통. 같은 아픔이지만 사람들은 소녀의 경우는 동정하지만 악인의 경우는 자업자득이라며 동정하지 않는다. 감정적으로는 그렇다 해도 아픔은 남아 있다. 우리가 고민 이야기를 하면 세상에 너보다 더 힘든 사람이 훨씬 많다며 고민하는 것조차 허용되지 않는다. 사실 그렇다. 그런데 나보다 힘든 사람이 더 많다고 해서 나의 고민이나 아픔이 없었던 일로 해야만 하는가? 『인간실격』은 이렇게 대한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 p.163


모든 것이 황폐한 일본인들의 아픔을 여리여리한 요조의 마음이 일본사회 내에서 다독이는 손길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일전에 번역문이 어색하다 하여 다시 다른 판본으로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번역문이 이상한 것이 아니라 다자이 오사무의 글 자체가 그런 문장으로 되어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파문이 번지는 물길같이 만질수도, 바꿀 수도 없는 마음이 오롯하게 느껴지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