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 - 더 나은 오늘은 어떻게 가능한가 인류 3부작 시리즈
유발 하라리 지음, 전병근 옮김 / 김영사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 3부작 시리즈 완결판


 유발 하라리의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을 읽다보니 문득 '제언' 이라는 뜻이 궁금해 사전을 찾아보았다.  제시할제, 말씀 언. 의견이나 생각을 내놓음. 또는 그 의견이나 생각이라고 한다. 21세기를 위한 21가지에 대한 의견을 그는 인류 3부작의 완결편으로 가져왔다. <사피엔스> <호모 데우스>에 잇는 그의 방점은 과연 무엇일지 궁금했다. 사실, 그의 이름 만큼이나 그가 쓴 저작에 대해 무수히 들어왔다. <총,균,쇠> 이후 늘 거론되는 것이 <사피엔스> 때문이었기에 읽지 않는 이까지 책의 내용을 알 정도였다. 그럼에도 어려울 것 같아 시도 조차 안했는데 그의 책을 읽어보니 우려와 달리 쉬운 언어로 그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그런 점이 호감으로 다가왔다. 조곤조곤 이야기를 풀어가는 동시에 중점적으로 이야기를 하고자 하는 주장에 대해서는 다시 한번 이야기를 강조하며 그동안 인류가 걸었던 시간을 통계 삼아 우리의 가는 길에 대한 설명을 명료하게 들려준다.


시간에 비례하여 우리가 걸어왔던 길이 어느 순간 부터는 공동체가 아닌 개인주의로 흐르게 되었고, 과학과 생명공학의 발달로 우리가 알지 못하는 첨단 세계로 점점 비대화 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이니, 비트코인, 인공지능등 점점 개인의 손을 벗어나 사람의 손으로 할 수 없는 것들이 다층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그래서 뉴스를 통해 그것에 대한 비약적인 발전이 가져오는 장점과 달리 그것이 더 비대해지고 사람의 손을 대신해 모든 것이 모두 뒤바뀌어 버린다면 어떻게 될까 하는 우려가 생기는 것도 그 때문이다. 자유경제체제에 대한 눈부신 활약이 이제는 점점 빗금이 쳐지듯 하락세이고, 공동체가 아닌 자국의 이익에 손을 드는 브렉시트와 트럼프의 부상을 눈여겨 보고 있다. 


지금껏 우리는 자유주의에 대한 가치와 힘을 믿어왔고, 미국과 유럽을 비롯해 그들은 그런 이념을 뿌리 내리기 위해 많은 이념전쟁을 했으나 어느새 다시 자국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는 것으로 선회하게 되었다. 유발 하라리는 그런 모습들을 보며 파시즘, 공산주의 자유주의 시대에서 제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파시즘이 떨어져 나가고, 1940년대부터 80년대는 공산주의와 자유주의의 격전지가 되었다가 이내 공산주의가 무너지면서 자유주의 이념이 승자가 되었다. 그러나 자유주의의 가치를 내세운 나라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가치는 무너지고 계속된 난관들이 펼쳐졌다. 오랜시간 훈풍이 불 것 같은이념의 가치가 점점 틈이 벌어지게 된 것이다. 예전에는 두 이념, 혹은 세가지의 가치에 대해 고를 수 있었지만 지금은 무너져 버린 이념들 사이로 오롯하게 남아있는 하나의 가치에 의존하여 살고 있다. 유발 하라리의 말에 의하면 그에 맞는 대안이 없기에 계속해서 그 가치를 이어오고 있다고.


유발 하라리는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을 통해 기술적인 면과 정치적인 면, 인류의 역사에 있어 테러리즘과 전쟁, 겸손, 신, 세속주의를 통해 절망과 희망을 말하고 있다. 우리가 생각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에 대한 눈에 대해 말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그 모든 것들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교육과 모든 것에 대한 의미, 명상만이 인류가 오랫동안 보존하고 살 수 있음을 그는 의견으로 피력하고 있다. 우리가 갖고 있는 모든 것들이 예전에는 돌파할 수 있는 피난처였지만 이제는 그것이 걸림돌이 되어 많은 민족을 파괴시킨다. 서로 닮은 이들만이 똘똘 뭉치고 아닌 자들에 대해서는 무자비하게 공격하며 그들은 지구에 발을 붙이고 살 수 없게 만드는 것도 인류의 끝이라고 그는 말하고 있다.


그렇기에 우리는 차근차근 그의 이야기를 읽으며 우리가 하는 모든 행위들과 생각들을 잠시 멈추고 기술적으로, 정치적으로 행하는 것들을 다시 돌아볼 필요가 있다. 현재의 시점에서 이득이 되는 행위라 할지라도, 언젠가 인류에게 해가 되는 행위라면 교육이나 명상, 의미를 짚어보는 것에 대한 정의를 다시 내려봐야 한다. 읽는 내내 그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우리가 몸소 겪는 많은 것들이 갖는 불균형에 대한 원인과 해법을 알 수 있었던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