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랑 - 김충선과 히데요시
이주호 지음 / 틀을깨는생각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잊어서는 안될 이름, 김충선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 했을 때 떠오르는 인물을 적어보라고 한다면 이순신 장군, 서애 류성룡 선생, 선조대왕이 떠오른다. 선조 시대때 일어난 전쟁이었고, 아무런 준비가 없이 무방비하게 왜의 습격을 당해 어이없이 함락된 전쟁이었다. 이순신 장군은 <난중일기>로 그때의 일을 일기로 기록했으며, 서애 류성룡 선생은 어이없이 참담하게 벌어진 일을 수습하며, 후대에는 절대 이런 이런 일을 반복하지 않게 하고자 쓴 남겨 놓은 책이 <징비록>이었다. 개인적으로 조선시대의 왕 중 가장 무력하고, 안이했던 왕 중 하나였다고 생각한다. 누군가에게는 이 기록이 가장 치욕스러웠고, 또 누군가는 안의 소란스러운 내분의 조짐을 잠재우고자 밖의 동태를 살피며 야욕으로 일으킨 전쟁이었다.


오랫동안 조선에서는 전쟁이 없었고, 평온한 시대를 살았기에 무방비했다. 그런 우리의 헛점을 알아내듯 일본의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오다 노부다가의 수족으로 있다 그가 혼노시의 변으로 죽자 그가 일임을 하며 권력을 손에 쥐게 된다.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처럼 어디에 권력의 공이 오갈지 모르는 시대의 상황이 영웅을 만들어 내고 그 시대 속에 조선에서 태어나 일본에서 살게된 한 소년의 이야기가 아릿하면서도 강단있게 그들의 이야기를 풀어낸다. 어떠한 사연으로 일본으로 건너 온 소년의 이야기는 이방인처럼 아이들의 놀림감이 되고, 목표물이 되고, 누군가의 동네북처럼 따돌림과 주먹이 오간다. 몸이 약해 함께 훈련을 받을 수 없던 소년은 몸으로 하는 훈련 대신 지략으로 그들의 머리보다 한발짝 더 앞서 나간다.


안정되지 않는 무자비한 시대에서는 누군가보다 앞서서도 뒷걸음질 쳐도 늘, 목숨이 위협을 받는 시대였다. 총명한 그 아이는 남들보다 더 앞섰기에 주군의 총애를 받았고, 누군가에게 도장을 찍뜻 청년의 이름을 명확히 세겼지만, 누군가에게는 그의 총명함을 그의 손아귀에 넣고자 했다. 그렇게 소용돌이치는 시대에 소년은 세찬 물길을 헤쳐 나간다. 그러면서 그가 조선인인지, 일본인인지 뿌리에 대해 갈구하며 질문에 질문을 더해간다.


소년의 질문과 청년의 질문, 내가 지켜야 하는 것들에 대한 집념이 그 시대의 사람들을 떠올리며 잊어버린 것과 잃어버린 것들을 떠올렸다. 내가 기억하는 시대와 사람들의 이야기가 다가 아니라는 것을 이주호 작가는 <김충선과 히데요시>를 통해 선명하게 보여준다. 그가 아니었으면 나라 전체가 넘어갔을 위험한 전쟁에서 죽기 살기로 지략과 전략을 더해 왜의 침략을 막아낸 이순신. 그 시대 속 어딘가에 실존 인물이었던 소년의 자리가 그 시간 속에 있다. 글을 읽으면서 정말 이 책이 지어진 이야기가 아니라 실존인물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라는 것이 놀라웠다.


무자비한 시대 속에서도 결코 자신의 고집을 꺾지 않았던 그 사내가 어떻게 다시 조선으로 귀화하며 '김충선'이라는 이름을 임금에게 하사 받을 수 있었는지 그 곡진한 이야기를 책은 실제와 허구 속에서 작가의 필치를 통해 메워진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읽으면서 오다 노부나가의 호쾌한 모습과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야욕과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인내를 보았다. 책 속에서 이들의 이야기는 한 소년의 운명의 궤를 같이 하고 있어서 흥미로웠다. 뿌리를 알지 못한 채 조용하게 있는 듯 없는 듯 하면서도 총명했던 소년의 재주와 집념, 소신의 이야기가 시대의 맞물려 한 사람의 이름이 여러 이름으로 불리면서도 끝까지 고통과 인내를 하며 그의 재주를 남다르게 펼쳤던 장군 김충선을 느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