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 오거스트의 열다섯 번째 삶
클레어 노스 지음, 김선형 옮김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18년 8월
평점 :
절판


기억하고 있는 삶의 탄생을 반복하는 삶.


 타임리프를 소재로 한 영화나 책은 어딘지 모르게 애틋함과 신비로운 느낌을 동시에 가져다 준다. 그래서 그런지 이런 주제로 한 이야기를 좋아한다. 한 곳에 정착한 삶은 안정적인 동시에 느슨하다. 생동감있게 삶을 살려면 살면서 여러 변화를 줘야 한다. 반면 자의반, 타의반으로 어쩔 수 없이 타임리프 속으로 들어가 이곳 저곳 발걸음을 옮기는 이들의 삶은 생동적이지만 불안정하다. 한 곳에 정착 할 수 없어 늘, 짐은 가볍고 한 곳에 머물 수 없기에 사랑하는 이와의 안정적인 삶을 살아갈 수 없다. 예전이라면 전자의 삶을 추구하는 삶을 좋아했지만, 요즘은 후자의 삶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좋고, 나쁨이 아니라 각각 그렇게 살 수 있다면 그렇게 사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클레어 노스의 <해리 오거스트의 열다섯 번째 삶>은 독특한 이야기다. 처음 만나는 작가이기에 생경하고, 무려 열다섯 번이나 삶을 사는 해리 오거스트의 삶이 궁금했다. 다시 삶을 살고 싶냐고 누군가 물어 본다면 어떤 이들은 다시 태어나고 싶지 않다고 말하는 이도 있을 것이고 누군가는 전생의 삶을 또는 후의 삶을 이야기 할 것이다. 그러나 해리 오거스트는 이전의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는 이들과 달리 열다섯 번의 삶 모두 기억하고 있어 이전의 삶의 기억들을 토대로 다시 다른 실수 없이 좋은 쪽으로 자신의 인생을 펼쳐 나가려 한다. 첫번째와 두번째의 삶이 누군가에 의해 치명적인 상처를 입고, 생을 다하지 못하고 자살을 하거나 누군가의 검은 손길로 인해 자신이 태어나지만 자식으로 인정받지 못한다. 그런 인생의 음울함을 그는 극복하지 못하고 치명상을 입었고, 그 후의 많은 삶들은 실패한 삶의 원인들을 분석해 단점들을 고쳐 나간다.


마치 제품을 개발하듯 해리 오거스트의 삶을 고쳐나가는 것처럼 삶이 바뀔수록 의학, 물리학, 종교등 다양한 분야를 탐구하며 자신의 능력을 높여 나간다 생에 생을 더할수록 점점 더 힘이 세어지는 히어로 같은 느낌이 들기도 했다. 이야기는 어디로 빠질지 모르는 미로처럼 계속해서 이야기가 펼쳐져 나간다. 마치 롤러코스터를 타는 것처럼 쉼없는 이야기가 쉴 새 없이 이어지니 읽는 내내 해리 오거스트의 삶이 시작된 1919년 1월 1일, 기차역 화장실에서 부터의 삶을 시작으로 긴 터널 같은 삶이 계속해서 이어진다.


기억하는 능력은 다시 삶을 수리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좋은데 비해 잊어버리고 싶은 기억가지도 온전히 담고 있어야 한다면 과연 반복되는 삶이 좋을까 싶기도 하다. 때론 망각의 힘도 필요할데가 있고, 이전의 실패했던 것을 것을 다시 반복하지 않기 위해 그 능력을 넘어서기 위해 능력을 최대치로 키워 세계를 벗어나는 길을 한 사람이 채워나가는 이야기를 담았다. 이전에 미처 견주지 못한 이야기를 새로운 느낌의 책을 통해 만났는데 해리의 열다섯 개 이야기를 각각 보여주기 보다는 서로 비교하면서 보여주는 형식이 재밌게 느껴진다. 처음 만나는 작가였지만 탄탄한 이야기에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읽었던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