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앗 철학 - 씨앗에서 삶으로
변현단 지음 / 들녘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게 삶으로 87 씨앗에서 삶으로



《씨앗철학》

변현단

들녘

2020.3.13.



뒷산을 내려오다가 나팔꽃씨를 네 알 따서 주머니에 넣었다. 집으로 돌아온 뒤에 창가 흙에 바로 놓았다. 흙을 살살 뿌려서 씨앗을 덮었다. 앞으로 나팔꽃씨는 어떻게 자랄는지 궁금하다. 싹이 트는 모습부터 지켜보고 싶다.


《씨앗철학》을 읽었다. 이 책은 뿌리기, 자람기, 맺기, 이렇게 세 갈래로 이야기를 들려준다.


올봄 개구리가 깨어나던 무렵에 한멧줄기(백두대간)에 간 적이 있다. 문학답사를 하는 모임에서 갔는데, 이때 나는 ‘씨앗집(씨드볼트)’라는 데를 멀리서나마 보고 싶었다. 볼 수 있을지 모임 분들한테 여쭈니, 다들 이곳이 어디에 있는지 모르는 듯싶다.


날마다 먹는 밥을 돌아본다. 예전에는 밥을 버리기가 아깝다고 여겼는데, 어느 때부터인가 밥알도 씨앗 한 톨이라는 대목을 떠올린다. 어릴 적에 엄마아빠가 논밭을 지을 적에는 미처 느끼지 못 하다가, 요즈음 들어서야 새삼스레 되새긴다. 씨앗으로 깨어나서 나한테 밥이 되어 주는 쌀알을 고맙게 여기면서 박박 긁어서 한 톨도 안 남기고 먹는다.


《씨앗철학》은, 씨앗이나 사람이나 다르지 않다고 들려준다. 씨앗이나 내 몸이 다르지 않다고 한다. 씨앗이 살아가려고 끊임없이 움직이고, 뿌리를 내리지 못 하거나 싹을 틔우지 못한 일도, 사람살이하고 마찬가지인 길이라고 한다. 우리가 옛마을(고향)을 품고 살듯이 씨앗도 처음 자라던 때를 품는다고 한다. 씨앗을 받아서 건사하는 할머니는 맛 때문에 씨앗을 이었다고 하는데, 곰곰이 보면 모든 시골집은 다 다른 씨앗을 품으면서 살림을 한 셈이다.


파프리카를 손질하다 보면 씨앗이 참 많이 나온다. 그동안 파프리카씨는 그냥 버렸지만, 어쩌면 싹틀는지 모르기에 흙에 묻어 보기로 한다. 싹이 터 줄까?


나팔꽃씨도 묻고, 파프리카씨도 묻고서 생각한다. 이 작은 씨앗처럼, 나는 우리 집 세 아이한테 어떤 마음씨하고 꿈씨를 심었는지 돌아본다. 그리고, 나는 어릴 적에 내 마음에 어떤 말씨하고 꿈씨를 심었을까?


씨앗에서 말이 태어난다. 씨앗이 흙을 비집고 나와서 바람을 마시고 해를 받아들이듯, 내가 마음에 심는 말도 바로 아이들하고 나한테 스며서 싹트는 기운이지 싶다.


집에서 짝꿍하고 말을 섞다 보면 으레 엇갈리거나 다툰다. 즐겁게 하자는 마음보다는 자꾸 토를 달거나 퉁을 치면서 힘이 빠진다. 짝꿍한테 말이 씨가 된다는 옛말이 있다고 들려주어도 안 달라진다. 스스로 안 즐겁게 자르거나 쳐내는 말씨를 마음에 심으면, 될 일도 안 되지 않을까. 일이 답답해서 아무 말이나 나올 수 있지만, 일이 답답할수록 더 마음을 기울여서 말 한 마디를 할 노릇이라고 본다.


요새는 살림집이나 비닐집 모두 철을 잃어간다.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니, 철을 알 턱이 없다. 씨앗도 사람도 삶과 마음을 잃어버리고 잊어가니, 말도 흔들리거나 엇갈릴 수 있겠다. 책을 덮고서 다시 생각한다. 짝꿍이든 누구이든, 아무렇게나 문득 읊는 말이 있어도, 나부터 씨앗말을 가다듬어서 들려주자고. 나부터 스스로 풀꽃나무로 살자고.




2023.11.26. 숲하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