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왜 너가 아니고 나인가 - 인디언 연설문집
시애틀 추장 외 지음, 류시화 엮음 / 더숲 / 2017년 9월
평점 :
작게 삶으로 043 들숲을 죽이다
《나는 왜 너가 아니고 나인가》
시애틀 추장
류시화 엮음
더숲
2017.9.22.
1991년 봄에 갓 짝을 맺어서 한칸집에 살 적에, 우리 짝은 이레쯤 집을 떠나 배움마실을 다녀와야 했고, 혼자 있기에 무서울까 싶어 시누이가 와주어 같이 지냈다. 그때 하루는 극장에 갔고, 〈늑대와 춤을〉을 보았다. 이 영화를 보러 온 사람이 얼마나 많던지 자리를 못 잡았고, 우리 둘은 극장 바닥에 앉아서 보았다.
북중미 텃사람(원주민)이 미국한테 삶터를 빼앗기면서 자꾸 구석으로 몰리던 무렵, 어느 백인 병사는 ‘백인 문명이 저지르는 짓’을 창피하다고 깨달으면서 ‘텃사람 죽임짓(원주민 토벌)’을 하는 병사를 그만두고, 텃사람처럼 말을 하고 텃사람처럼 옷을 입으면서 살아가기로 했다지.
《나는 왜 너가 아니고 나인가》를 읽어 보았다. 우리가 일본한테 나라를 빼앗기며 끌려다닌 나날을 놓고 책을 쓴다면, 멍울지고 아픈 이야기가 수북하리라. 그런데 이 책을 읽어 보면, 북중미 텃사람은 멍울이나 아픔을 다르게 바라보면서 다르게 풀어낸다. 왜 들숲을 품고 사랑하며 살아야 하는가 하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흙과 나무와 하늘을 어떻게 돌아보고 살아야 하는가 하는 이야기가 가득하다. 냇물과 바다가 들려주는 노래를 들으라는 이야기가 흐른다.
우리는 일본한테 어떤 이야기를 들려주었나 하고 돌아본다. 우리는 우리 아이들한테 어떤 이야기를 남기는지 헤아려 본다. 우리는 아프고 찢긴 발자취를 되새길 적에 미움씨앗이나 불길씨앗을 외치지는 않았을까? 총칼을 움켜쥔 이들을 부드러이 나무라면서, 총과 칼이 아니라 낫과 호미를 쥐고서 함께 흙을 일구고 숲을 푸르게 가꾸자는 목소리를 낸 적이 있을까?
북중미 텃사람뿐 아니라, 우리 옛어른도 지난날에는 숲에서 나무를 함부로 베지 않았다. 다들 지난날에는 나무한테 여쭙고서 우리가 쓸 만큼만 얻었다. 예부터 북중미 들숲이건 우리네 멧골이건 바람하고 바다하고 얘기하던 마음이었다. 북중미에서도 우리나라에서도, 새가 들려주는 노래를 귀여겨듣고 바람이 알려주는 하루를 곰곰이 새긴 살림이었다.
‘시애틀’이라는 겨레이름을 따서 ‘시애틀’이라는 고을이름을 붙였다지만, 정작 그곳 시애틀에는 ‘시애틀 겨레’가 들어갈 수도 깃들 수도 살 수도 없었다는 이야기를 읽었다. ‘들과 숲을 사랑하는 사람’들은 들도 숲도 잃어야 했을 뿐 아니라, 들과 숲을 마구 파헤치는 문명을 멀거니 지켜보아야 했다.
오늘날 우리는 스스로 들숲을 파헤치고 바다를 어지럽힌다. 아이들을 대학교로 보내려고 애쓰기는 하지만, ‘가르침’이나 ‘배움’하고는 먼 듯하다. 학교는 오래 다니지만, 요즈음 아이들은 들도 숲도 모르는 채 입시에만 붙들린다. 나는 어릴 적에 의성 멧길을 혼자서도 넘고 동무하고도 넘으면서 살았는데, 요즈음 아이들은 들길도 멧길도 숲길도 모르면서 산다. 아파트에 꽃밭을 두지만, 아파트 꽃밭은 아이들이 손수 돌보거나 소꿉놀이터로 삼을 수 없다.
반짝거리는 돌에 미쳐서 기찻길을 내던 백인 문명은 북중미 텃사람을 더 수렁으로 밀어넣었다. 그나마 더 깊은 숲으로 숨던 텃사람은 숲에서마저 쫓겨나야 했다. 그런데 우리가 오늘날 벌이는 모든 개발과 문화도 북중미에서 벌어진 ‘텃사람 죽임짓’하고 닮는다. 들과 숲이 들려주는 이야기에 귀를 닫은 우리 모습이다. 바람과 바다가 속삭이는 이야기를 아주 등진다.
나무를 미워하고 밀어내기만 하는 우리나라 앞날에는 무엇이 있을까. 우리는 서로 어떤 마음으로 하루를 살아가는가.
2023.10.7. 숲하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