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비밀 네트워크 - 나무가 구름을 만들고 지렁이가 멧돼지를 조종하는 방법
페터 볼레벤 지음, 강영옥 옮김 / 더숲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게 삶으로 017 어떤 일을 하나요


《자연의 비밀 네트워크》

피터 볼레벤 글

강영옥 옮김

더숲

2018.04.10.



《자연의 비밀 네트워크》를 지지난봄에 샀다. 이 책을 사던 날 책시렁 이곳저곳을 기웃하는데, 나이든 어느 분이 옆에서 ‘글쓰기를 잘 하고 싶다면 이바지할 책’이 있다면서 여러 가지를 얘기하셨다. 그런가 보다 하고 이분이 알려주는 책을 집어서 펼치는데, “어떤 일을 하나요?” 하고 묻고, “일하는 곳이 이곳만 해요?” 하고도 물어보았다. 나는 내가 무슨 일을 하고, 우리 일터 크기가 얼마나 되는지 선뜻 밝히지 못 했다. 처음 보는 어르신이 물어보았기 때문이기보다는, 내가 하는 일이 어설프고 부끄럽다고 여기는 마음이었다.


《자연의 비밀 네트워크》는 사람이 함부로 숲(자연)을 건드려서는 안 된다고 들려준다. 숲이라는 그물은 빈틈이 없이 짜인 터전이기에, 사람이 멋모르고 건드리면서 작은 목숨붙이 하나라도 사라지면, 사람이 살아가는 터전도 흔들리고 무너진다고 들려준다. 늑대가 사라질 적에 사슴이 불어나면서 들숲이 어떻게 바뀌는지 들려주고, 이러면서 비버가 살아갈 터전이 흔들리면 또 잇달아 다른 터전이 어떻게 흔들리는지 들려준다.


곰곰이 생각해 보면, “비밀 네트워크”라기보다 그냥 ‘숲’이다. 숲에서는 어느 하나도 잘나거나 못나지 않다. 더 좋은 나무나 꽃이 없고, 더 나쁜 나무나 꽃이 없다. 어릴 적에 어머니하고 아버지 곁에서 논밭일을 도울 적에 매는 김도, 김을 매니까 맬 뿐이지만, 봄뿐 아니라 다른 때에는 나물이었다. 먹을 적에는 나물이고, 맬 적에는 김이다. 우리가 겨우내 쓸 만큼 나무를 해서 장작을 팰 뿐, 넘치게 나무를 하는 일이 없다.


우리 어머니하고 아버지도 그러셨지만, 더 먼 옛날 옛적 모든 어머니하고 아버지도 시골살림을 스스로 하나하나 지으면서 아이들한테 ‘숲’을 그대로 보여주고 알려주고 이야기했다. ‘자연의 비밀 네트워크’처럼 어렵게 말하는 일은 없었지만, 어른도 아이도 언제나 ‘숲’ 곁에서 숲을 알고 느끼고 마주하면서 스스로 ‘숲’답게 푸르게 자라고 살았다.


내가 일하는 대구 한켠 마을가게(마트)는 어떤 터전일까. 이 일터도 ‘숲’일 수 있을까? 내가 우리 일터인 가게에서 손질해서 파는 나물 한 꾸러미는 이 별(지구)에서 어떤 몫으로 이바지를 하려나? 마을가게에서 다루는 과일이나 라면이나 여러 살림살이는 마을에 어떻게 숲빛으로 이바지를 하려나? 나는 우리 일터가 썩 숲답지 않다고 여겨서 ‘내가 하는 일’을 낯선 어르신한테 선선히 말하지 못 하고 쭈뼛거렸을 텐데, 아무래도 여러 눈치를 먼저 느끼는구나 싶다.


우리 어머니 같은 흙일꾼이 땡볕에서 키운 능금 복숭아 수박이다. 우리 아버지 같은 논밭일꾼이 뙤약볕에서 돌본 벼 보리 수수이다. 목마른 땅에 들에 숲에 구름이 피어나고 비가 내린다. 빗물은 샘물이 되고 냇물이 된다. 나뭇잎이 말라서 가랑잎으로 떨어지면 땅을 다시 살린다. 풀 한 포기도 나무 한 그루도 숲이고, 어느 하나도 빠질 수 없다. 나도 틀림없이 우리 별을 이루는 작은 풀포기나 나무일 텐데, 어쩐지 부끄럽다고 여겨 고개를 들지 못 하는 할미꽃일지 모르겠다.


이다음에 어느 누가 불쑥 또 “어떤 일을 하나요?” 하고 물으면 “마을가게를 해요.”나 “동네마트를 꾸려요.” 하고 선뜻 말할 수 있을는지 모르겠다. 앞으로도 내 일이 무엇인지 말을 않고 살아갈는지 모른다. 그렇지만 나는 나무를 언제나 곁에 둘 생각이다. 작은 풀꽃을 마음에 담을 생각이다. 빗물을 바라보고 햇볕을 듬뿍 쬘 생각이다. 그리고 《자연의 비밀 네트워크》는 옮김말이 우리말답지 않아서 읽기가 힘들었다.



2023.08.10. 숲하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