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리한 공주 난 책읽기가 좋아
다이애나 콜즈 글, 로스 아스키스 그림, 공경희 옮김 / 비룡소 / 200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게 삶으로 007 세 가지 꿈으로



《영리한 공주》

다이애나 콜즈 글

공경희 옮김

비룡소

2002.4.24.



《영리한 공주》는 동화책이다. 책을 많이 읽는 글벗이 읽어 보라고 했다. 거듭 소리내어 읽으면 글쓰기 실마리를 새삼 알아차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책을 장만하던 2021년 7월 20일을 떠올린다. 그날은 마음이 어수선했다. 어디 가야 하는 날인데, 어디 가는 길에 반쯤 지나서 보니 가방이 없더라. 그냥 이대로 갈까 하다가 차를 돌려 집으로 왔다. 가방을 찾아야겠더라. 더구나 이날부터 우리 가게에서 일하는 분이 휴가를 간다고 하면서 쉬는데, 이분 자리를 채울 일꾼을 미처 찾지 못 했다. 모자라는 일손 걱정에, 집안일 눈치에, 또 제대휴가를 나온다는 아들내미 생각에, 또 나중에 사위가 될 ‘작은딸 남자친구’하고 밥 한 끼 먹기로 한 일에, 온통 뒤죽박죽이었다.


줄거리를 죽 짚어 본다. 아버지인 임금님은 보석만 좋아한다. 딸인 공주가 태어났지만 딸하고 놀 틈을 안 낸다. 아이는 엄마를 일찍 여의었고 아버지가 있는데, 어버이는 어버이로서 아이를 바라보지 않는다. 게다가 임금이란 사람은, 딸이 나이가 어느 만큼 차면 ‘목돈을 받고 시집을 보낼 마음’일 뿐이라, 아이가 뭘 읽고 쓰고 배우지 않기를 바라기까지 했다. 아이는 어버이 손길을 받지 못했지만, 돌봄이(시녀)가 곁에서 돌보고 이끌어 주었다. 글을 읽고 쓸 뿐 아니라, 그림을 그리고, 바느질을 익히고, 살림을 하나하나 배운다.


책을 덮고서 우리 어버이를 떠올린다. 우리 어머니하고 아버지는 학교를 얼마나 다닐 수 있었을까? 우리 할머니 할아버지는 어머니하고 아버지를 어떻게 가르쳤을까? 아이한테 무엇을 가르치는 일이란 무엇이고, 어버이라면 아이한테 무엇을 보여주고 가르쳐야 할까?


《영리한 공주》에 나오는 아이는, 임금님인 아버지가 저를 돌보지 않고 쳐다보지 않더라도 미워하지 않는다. 보석을 받고서 엉뚱한 데에 시집을 보내도 미움이 아니라, 스스로 새길을 열려고 온마음을 기울인다. 아이는 ‘세 가지 꿈(소원)’을 이룰 수 있다는 말에, 보금자리를 정갈하게 치우는 살림길 하나를 바라고, 손수 바느질을 해서 옷살림을 가꾸는 둘을 바라고, 스스로 이야기를 짓고 그림을 담아서 둘레에 환하게 웃음꽃을 피우는 셋을 바란다.


누가 나한테 ‘세 가지 꿈’을 이룰 수 있다고 물어보면, 나는 어떤 세 가지를 바랄까? 더 많은 돈일까? 글을 써서 얻을 이름일까? 무슨 일이든 척척 해낼 수 있는 튼튼한 몸에서 넘치는 힘일까? 나는 이 책 《영리한 공주》에 나오는 아이처럼, 먼저 스스로 보금자리를 돌보고, 살림을 짓고, 생각을 펴면서 노래하는 꿈을 고르면서 밝힐 수 있을까?


어둠을 걷어낸 아이는 말을 타고서 새롭게 배우려는 길에 나선다고 한다. 돈(여행경비)을 챙긴다든지, 짐(여행에 쓸 물품)을 꾸리지 않는다. 그저 가볍게 말에 맨몸으로 타고서 호젓하게 길을 나선다.


크고 날이 잘 드는 칼이 있어야 괴물이나 적군을 물리치면서 나를 지킬 수 있지 않는다는 뜻이리라. 아버지인 임금님처럼 돈이 철철 넘쳐나더라도 스스로 즐겁게 하루를 누리지 않는 줄 일찌감치 알아보았다는 뜻이리라. 여기에 스스로 하루를 그리고 스스로 이야기를 짓고 글그림으로 펴는 손길이 함께 있구나.



2023.07.30. 숲하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