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설가의 여행법 - 소설을 사랑하기에 그곳으로 떠나다
함정임 글.사진 / 예담 / 2012년 2월
평점 :
만나고 싶었다. 소설 속에서만 존재하면서 자신들의 이야기와 관계만을 보여줄 뿐, 대화단절을 느끼도록 하는 일방적인 관계를 깨고 싶었다. 하지만 소설 속의 인물과 독자와의 관계는 일방적인 것이며, 그것은 앞으로도 깨지기 힘든 것이다. 설사 저자 조차도 그런 관계를 깨기 힘들 것이다. 그런 아쉬움이 있어서인지 독자는 어쩌면 소설 속의 그들이나 시공간의 장소를 종종 떠올리며, 자신만의 새로운 세계를 만들고 또한 그 속을 다시 재구성한다. 그리고 그 속에 자신을 담는다.
나만 그런 것은 아니었나 보다. 소설을 창조하는 작가 역시 타인이 만든 작품 속에서의 갑과 을의 관계를 절감한 것인지 모르겠다. 하지만 뻔한 독자와는 달리 작가 함정임은 좀 다르다. 그녀는 자신이 만나고 봤던 곳들에서의 작품과 작가, 그리고 소설 속 캐릭터들을 분주히 찾아 다니며 그들이 갖고 있던 기존의 매력은 물론 그들이 태어난 그곳에서 다시 뭔가를 찾는 숙련된 여행객의 자취를 풍긴다. 과연 그녀는 글 쓰는 이다.
뻔하다면 뻔하다. 작가이기에 그녀의 눈은 작품, 작가, 그리고 그들이 태어난 시공간의 배경들에 쏠려 있다. 아마도 자신의 작품에 소개될 새로운 캐릭터를 창조하기 위해 [소설가의 여행법] 작가이자 소설가인 함정임은 그녀를 지칭하는 단어인 노마드 작가답게 많은 곳을 여행하며 뭔가를 꾸준히 찾고 있을 이유일 것이다. 새로운 것을 만들기 위해 과거의 것에 탐닉해야 하는 것은 작가만의 세상에 한정되진 않는다. 하지만 그녀의 열정이 고마운 것은 소설이 갖고 있는 대중성을 아직도 즐기지 못한 이들에게 소설에 더 잘 다가갈 수 있는 지름길을 제공하기 때문이며, 또한 왜 그 소설을 읽어야 할지를 알려주는 안내판과도 같다. 그리고, 그녀의 문장을 색다르게 즐길 수 있는 기회도 얻기 때문이다. 왜냐 하면 그녀는 글 쓰는 이이기 때문이다.
풍성하다. 끝없이 나타나는 다양한 소설 속 캐릭터들은 상상 이상으로 많았다. 아니 인간의 한계로는 세상 모든 소설의 인물들을 만날 수 없는 인간의 한계를 느낄 수 있는 좋은 독서다. 그 한계가 있어야 안 되지만 도전을 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하다. 그녀가 언제나 찾고 있는 다양한 인간군상들에 대한 섬세한 관찰력과 인생을 살면서 느끼는 성찰의 풍성함이 이 책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이 책의 또 하나의 소재인 사진들과 함께 말이다. 앞으로도 쏟아질 색다른, 어쩌면 괴이한 캐릭터들에 대한 묘한 매력과 그들이 갖고 있는 시대적 가치나 의미, 그리고 고민들에 대한 예방주사를 맞는 듯 했다. 좀 내성이 생겨, 소설 속의 인물들과 정면으로 만날 용기를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소설 속 캐릭터들은 어쩌면 괴짜이거나 현실 부적응자일 것 같다. 카뮈의 ‘뮈르소’는 과거는 물론 현대인에게서 조차도 찾기 힘든 이상한 인물이다. 아니 소설 속 인물들이 평이하다면 과연 그들을 주목할까 하는 생각이 든다. 결국 우리의 아픔을 갖고 있으면서도 평이하거나 타성에 젖은 상태에서 반응하지 않고 색다르게, 심지어는 저항할 때, 독자들은 자신의 아픔을 투영하면서 그들의 도전에 열광하는지 모른다. 대리만족, 그런 것인지도 모르겠다. 내가 할 수 없다는 심리적 무력감을 해소할 수 있는 그런 인물들은 분명 통쾌할 것이다. 반대의 인물들도 있지만 말이다. 그래서 그들이 반갑고 그들과 함께 있고 싶고, 그들을 찾고 싶다. 그런 수고를 작가는 했다.
책을 다 읽었다. 이것을 읽은 나 역시 많은 곳을 여행하고 만나고, 또한 찍었고, 즐겼다. 직접 체험이 아닌 간접체험이란 것이 한계로 다가올지 모르지만 좋은 망원경을 통해 보듯 작가의 도움으로 보다 색다른 정경을 볼 수 있었던 것 같다. 그리고 그냥 그렇게 생각했던 작가들과 캐릭터들을 다른 앵글로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다르게 볼 수 있는 매력에 심취한 것이다. 언젠가 나도 직접 가고 싶다. 그리고 그 때, 좀 더 다른 앵글로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졌으면 한다. 나만의 앵글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