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이 들리고 음악이 보이는 순간 - 여자, 당신이 기다려 온 그림이 들리고 음악이 보이는 순간 1
노엘라 (Noella) 지음 / 나무수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같은 예술의 한 갈래로서 봐도 음악과 미술은 참 잘 어울린다. 인간의 감각 중 듣고 보는 것이 경험적 외피 중 가장 기본적인 것이라면 말이다. 인류 최초의 예술이 어쩌면 그림이나 음악인지 모르겠다. 너무 쉽게 접근할 수 있기에 친한 친구와도 같은 그런 존재들이라서 그렇게 생각된다. 시각과 청각의 한 부분들이면서 서로의 표현의 한계를 극복해주는 Genre인 이 둘은 많은 사람들에게 상상을 자극시키는 매개체로서 그리고 예술의 매력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알려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그런 매력 중엔 힘든 자들에 대한 위로도 있을 것이다.
  힘들었나 보다. 책에 담긴 글들의 행간을 읽으면 말이다. 어렸을 때, 누구도 쉽지 않을 유학을 했고, 그것도 음악을 위해 갔다니 말이다. 그리고 힘든 사랑. 글 사이사이에 느낄 수 있는 쉽지 않은 시간들 속에서 저자는 자신의 고독을 이겨내야 했고, 자신의 아픔을 드러내지 못했으며, 또한 그렇게 힘들지만 잘 참아내야 했다. 다른 말로 한다면, 인간적 고통일 것이며, 그것은 반드시 치유해야 하는 병이다. 그런 그녀를 치유한 것은 음악과 미술이었나 보다.
  치유를 위한 미술과 음악, 이 책에서의 미술과 음악은 아픔을 치료하고 있다. 작가의 선별이겠지만 여기에 소개된 그림과 음악들은 많이 알려져 있긴 하지만 새로운 치료의 기운을 느낄 수 있다. 마치 뻔하게만 보였던 기존의 예술작품들이, 저자의 경험과 시각으로 인해 새로운 겉옷을 입고 나타난 느낌이 들었다. 그리고 각각의 미술 작품에 음악의 곡들을 짝지으면서 어딘지 다른 감흥을 자아내고 있다. 그리고 진부한 느낌이 들었던 예술품들이 아픔에 슬퍼하는 작가를, 그리고 마찬가지로 아픔을 간직하고 있는 그래서 이것을 읽는 독자들을 위로하고 있는 것이다. 예술의 가치에서 치유라는 덕목이 추가되는 셈이다. 
  미술과 음악의 공통점은 많다. 어차피 다른 것도 마찬가지겠지만 이 둘은 인간의 감정을 형상화하면서 인간의 주관적인 감성을 표현하고, 그것을 통해 유대감을 확산시키는 특성이 있다. 그 유대감은 분명 중요하다. 내 고민과 아픔이 나만의 것이 아님을 알려주고, 그와 동료가 있다는 것을 알려주며, 그래서 그런 동료들의 존재감을 확인하고, 그것을 통해 함께 아픔을 노래하면서 극복해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아픔은 다양하다. 사랑의 아픔도 있을 것이며, 고독과 외로움이 있을 것이며, 상실감 등도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것들을 혼자 짊어지고, 나 혼자만 그렇게 느낀다는 절박함에 놓인다면 인간은 정말 불행할 것이고, 그에 대한 치유는 신경치료에 쓰이는 약 이외엔 존재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음악과 미술이 이 책을 통해 제시된다. 여러 사례들에 적합한 작품들을 보여줌으로써 저자는 힘들어하는 사람들에게 앞서의 사람들이 같은 경험을 했고, 그래서 그들은 예술을 통해 그런 아픔들을 승화했음을 적절한 작품들을 논거로 제시하면서 풀어준다. 동료들이 시공간을 초월해서 있으며, 음악과 미술이 그것을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래서 고맙다. 위로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들려주고 보여줘서. 현대의 바쁜 도시의 일상으로 인해 많을 상처를 얻게 된 우리는 기계적이고 사무적인 인간관계로 인해 서로간의 교감을 상실하고 있고, 그로 인해 자신의 고민을 내비칠 수 있는 기회를 박탈당했다. 그래서 힘들다. 그런 시공간에 살면서 어려운 내면을 치유할 수 있는 기회가 박탈당한 현대인에게 저자 노엘라는 자신의 고민을 해소한 그 방법으로 독자들에게 자신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것이다. 그것은 바로 접촉이다. 음악과 미술을 통해서 말이다. 현대에서의 예술의 가치는 바로 새로운 관계 형성과 유대감의 확산이라고 느껴진다. 그것은 오늘날 마음의 병을 치유할 수 있는 새로운 가치가 예술의 미덕에 포함되는 것이리라. 예술, 참 좋은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