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나라의 작가들 - 대화적 관계로 본 문학 이야기
최재봉 지음 / 한겨레출판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창조와 신선함으로 새로운 세상을 만든다고 생각된 문학에 대해, 그것은 선입견이라고 하는 이 책은 무척 독특한 시선이란 생각이 든다. 무엇보다 일리는 있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 이 책을 읽고 난 후의 효과일 것이다. 문학가는 당대의 현실에 어쩔 수 없이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이런 표현은 너무 막연하고 관념적이다. 도대체 어떻게 영향 받는가 하는 것이 사실 빠져 있었다. 그런데 이 책은 바로 영향 받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 작품이다. 제목이 ‘거울나라의 작가들’이란 것은 그 사회적 조건에 착안을 둔 것이 아니라 작가들 자신이 봤음 직한 혹은 봤던 작품들에 영향을 받아 문학을 썼던 이들의 묶음을 이르는 것이다. 어쩌면 당연한 이야기인데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인식하지 못했던 ‘관계’이다.
  바로 ‘관계’다. 시대를 넘든 동시대이든 큰 인상을 준 작품들에 대해 작가는 반응을 보이기 마련이다. 그래서 앞서의 작품에 대한 유사성을 갖게 될 수도 있고, 또한 앞서의 작품과 주제의식이 유사하던가 아니면 비판의 입장에서 쓰기도 한다. 그것은 어쩌면 시대 상의 차이가 반영된 결과일 수도 있고, 또한 독특한 작가들의 세계관이 한 판 전쟁을 치르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런 반응을 통해 왕성한 창작의욕이 분출하고 거침없는 필력이 작용하고, 그래서 한 번 볼만한 문학작품이 나온다는 것은 작가는 물론 독자들에겐 여간 즐거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 에세이에선 확실한 연결고리가 있는 작품들을 연결한 경우도 있지만 시공을 초월하다 보니 지은이의 상상력으로 연결한 내용도 있다. 하지만 그런 상상력도 책을 읽는 재미를 반감시키지 않는다. 새로운 창작이 될 수 있는 이런 기회는 많으면 많을수록 좋기 때문이다. 다만 주제의식이 충돌할 경우, 앞서의 작품을 비판하는 이후의 작품에 대해 앞서의 작품의 작가가 반론할 기회가 적다는 것이 유감일 뿐이다. ‘허생전’과 ‘허생의 처’ 사이에 있는 간격을 더욱 확실히 보여 줄 수 있도록 연암 선생과 이남희가 함께 논쟁을 벌였으면 했지만 불가능은 언제나 고전과 현대작품 사이에 놓여있는 슬픈 바다인 것이다.
  고전은 후대의 작가들을 위한 거름이 된다. 하지만 과연 이후의 작품들이 보여주는 세상과 방식이 언제나 좋다고 할 수는 없을 것만 같다. 고전인 ‘심청이’에 대한 최인훈과 황석영의 현대판 해석은 동화 속에 숨겨진 각박한 세상살이를 간파한 지성인의 인식 같기도 하다. 사실 심청이란 캐릭터가 나온 당대인들이 전래동화 속에 숨어 있던 낭만과 환상을 몰랐을 리는 없을 것이다. 더 잘 알았을 수 있다. 지금도 낭만을 쫓아 살고 있는 사람들의 공통의 심리인 현실도피는 그 때나 지금이나 엄존하는 마음일 것이다. 그것을 이루기엔 현실에서의 능력이 없다는 것 역시 그 때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다. 다만 위안을 주려는 것인지 아니면 현실을 직시하란 엄중한 경고인 것인지에 대한 차이일 것이다. 그래도 고전이 취한 동화가 좀 더 나은 것 같기도 하다. 작부로서의 심청이가 좀 더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인간으로 성장할 수는 있어도 불행한 인간사를 겪고, 그것을 벗어나지 못한다는 것은 현실의 자신을 유추할 수 있어서 괴로울 수 있다. 어렵게 시간을 내어 본 문학이 고통을 시간을 준다는 것은 아무래도 부정적일 수도 있단 생각이 든다. 비록 개인적인 생각이겠지만.
  공교롭다고 할까? 비슷한 구성과 내용, 그리고 주제의식, 이런 것들이 다른 작품에서 공유되고 있다. 하지만 그것은 특별한 것은 아니다. 그것은 누가 누구의 작품을 베꼈다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인간들의 보편적 속성의 발현이 아닐까 생각된다. 지적 소유권의 문제를 떠나 인간의 문제의식은 시공간을 넘어 언제나 비슷했고, 현실의 인간 역시 과거 어느 시점의 고민을 유사하게 느끼고 있는 것이다. 마치 ‘평행이론’처럼 말이다. 그래서 과거를 보고, 현실의 우리를 봐야 하는 것 아닐까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