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전쟁>을 읽고 리뷰해 주세요.
환율전쟁 - 환율이 경제를 움직인다
최용식 지음 / 새빛 / 2010년 1월
평점 :
품절


  환율, 이제 국가의 현재와 미래를 결정할 만큼 중요한 척도가 된지 오래다. 국제무역의 일상생활로 침투한 이 때, 그 중요성을 부각시킨다고 해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환율 너머의 국제무역에서의 수출과 수입은 국가경제는 물론 한 개인의 사생활까지 결정할 만큼 중요해졌으며 그래서 환율은 중요하게 됐다. 그래서 이에 대한 통제와 조정이야말로 국가의 운명을 결정하게 된 것이다. 
  이런 중요한 환율에 대해 ‘환율전쟁’은 환율과 그 너머에 있는 경제력과의 함수관계를 유효 적절하게 분석하고 있다. 무엇보다 국가의 부를 결정하게 된 경상수지와 자본수주의 함수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하면서 자본수지가 경상수지에 의해 좌우됨을 밝히고, 자본수지가 경상수지의 결과에 따라 움직일 수밖에 없는 이유를 타당하게 밝힌다. 경제학은 자주 접했지만 둘의 관계가 분명하지 않은 상태에서 좋은 설명이었던 것 같다.
  국가의 부를 결정하는 경상수지를 움직이는 것이 환율이란 관점은 새로운 것은 아니다. ‘근린 궁핍화 전략’에서 환율조작은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수단이자, 국내물가를 폭등시키는 위험성을 갖고 있어도 자본주의 국가들이 언제나 취하려는 정책이며, 한국은 물론 인근 동아시아 국가들이 언제나 취하고자 하는 정책이다. 그런 점에서 한국에게 있어 환율정책은 전쟁이란 표현이 가능할 만큼 가장 강한 정책 수단이 되어 왔다. 그 점에서 ‘대통령 인수위’에서 활약했던 저자의 입장에서 역시나, 환율은 중요하게 보였을 것이다.
  그는 환율에 대한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 정치경제학에서 자주 차용하는 역사적 접근을 시도한다. 칭기스칸의 거대한 몽골 시절에서부터 미국의 발흥시기까지의 역사적 사례를 검토하면서 점차 강해지는 환율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특히 Chapter 4인 ‘대표적인 환율정책의 성공과 실패 사례’야 말로 작가의 의도가 가장 잘 표현된 부분인데, 프랑스는 물론 미국과 일본의 환율정책의 변화에 따른 국력의 부침을 설명하는 부분은 분명 많은 점을 시사해 준다. Chapter 5에선 한국의 경우를 들면서 한국의 환율정책을 논하는 부분은 과거 정권에 대한 평가는 물론 현정권의 환율정책에 대한 평가를 냄으로써 사회과학자로서의 품위를 유지하고 있다.
  환율문제는 국제경제에서는 물론 사회 내부에서의 긴장과 통합에 매우 중요한 함수관계를 갖게 됐다. 외환에 대한 위기가 사회의 경제력을 붕괴시킴은 물론, 사회적 분열을 조장한 사례는 이제 예외적인 현상으로 보이지 않는다. 그런 면에서 환율의 적절한 국가의 중대사가 되고 있다. 이런 환율에 대한 가치를 일깨운 점에서 이 책은 주목을 받아야 한다. 다만 국내정치와의 함수관계와 과거 사례에서의 환율정책에 대한 보다 세분화된 분석이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은 있다. 그러나 경제학자가 사회학까지의 지평으로 확대하는 것은 이 책으로는 과다한 분담이었을 것이다. 그런 면이 적다고 해도 이 책의 메시지가 작은 것도 아니다. 사회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환율정책의 필요성은 분명 중요하니까. 특히 중국과 미국에 대한 한국의 경제 가치가 높은 이 시점에서 이 책은 분명 귀담아 들어야 할 내용으로 가득 찼다. 개인적으로 이 책의 주장이 많은 이들에게 미래를 보는 힘을 기르게 하고, 또한 보다 건전한 사회를 만드는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