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긍정이 걸작을 만든다 - 도전하는 승부사 윤석금의 경영 이야기
윤석금 지음 / 리더스북 / 2009년 8월
평점 :
웅진그룹의 윤석금 회장은 사회적으로 큰 성공을 한 기업인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이런 책을 쓸 수 있는 기회를 얻었으리라. 그래서 그의 이야기를 담은 이 책은 사회적으로 성공한 이의 자신감과 성공담을 보여주기 위한 책처럼 자칫 보일 수 있다. 사회의 통념처럼 사회적 성공을 한 사람은 그의 일생 전체가 다 좋은 근거이자 본보기라는 오해를 충분히 불러일으킬 수 있기에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이라면 그가 어떻게 성공했는지, 그의 인생관이 무엇인지가 무척 궁금했을 것이고 그에 대한 답변이 이 책에선 가득할 것이다.
어쩌면 이 책은 웅진그룹의 좋은 홍보책으로서의 기능도 하고 있을 것이다. 웅진그룹이 현재 어떤 사업을 하고 있는지조차 모르는 사람들에게 이 책은 웅진의 현재의 모습을 가장 잘 보여주는 책이다. 나 역시 간헐적으로 알았던 웅진그룹의 현재 진행형들을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됐다. 또한 여느 기업인의 에세이처럼 이 책 역시 세상에 대한 듣기 좋은 이야기들을 많이 담고 있다. 평범한 교과서와 다른 것이 있다면 이 책엔 구체적 근거들이 현실감 있게 제시되고 있다는 점에서 좀 다를 것이다. 그러나 열심히 노력해야 한다, 혹은 긍정적으로 모든 것을 생각해야 한다 등은 우리가 익히 들어 알고 있지만 현실감이 부족했던 터라, 이 책은 그런 구체성을 듬뿍 담은 책이다.
이런 정도라면 이 책은 성공한 기업인의 자서전이기보다는 홍보용 책자에 가깝다고 생각할 수 있고 그런 면이 없지 않다. 그래서인지 세상을 살아갈 날이 더 많은 젊은이들에게 이 책은 어쩌면 비현실적으로 보이기 쉽다. 마냥 열심히 해서 살아가면 성공한다는 방식의 이야기는 식상한 것이기보다 지금 최선을 다하고 있는 젊은이들이 많기에 감각적으로 다가오지 않을 수도 있다. 단순한 표현으로 ‘일벌레’ 혹은 ‘일중독’이 되라는 표현과 다르지 않다. 또한 열심히 한다고 성공하기보다 경쟁이 있기에 남들보다 더 열심히 해야 한다는 표현이 더욱 현실감이 있어 보인다. 이 책의 중간중간에도 그런 류의 이야기는 있었지만 상대성이란 표현을 적극적으로 표현하지 않았기에 그냥 열심히 긍정적으로 살면 성공한다 정도의 내용을 끝나는 것은 아쉽다.
그러나 이 책엔 ‘그러나’가 있다. 바로 우리가 살면서 잊고 사는 이야기인 바로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살아야 한다는 이야기이다. 세상이 점점 거칠어지면서 우리는 힘든 세상에 힘들어 할 뿐, 그 다음을 생각하지 못하고 있다. 하루하루를 그냥 허기만 채우고 있는 슬픈 생활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식의 생활에 내일이 있을 리 없으며, 장래를 기약할 수 없다. IMF 세대란 저주 받은 세대가 나온 지, 거의 10면 만에 또다시 금융위기에 따른 ‘88만원세대’가 20대에 이름 붙여졌으며, 그들이 사회생활을 시작할 때 아무것도 없다. 여기에 그들에게 의존해서 살아야 할 베이비붐 세대들의 미래 역시 고통일 것은 분명하다. 한국의 미래는 객관적 수치로 볼 경우 결코 우호적인 미래는 아니다. 그러나 이런 절박한 상황에서 젊은이들이 자신의 인생을 최고로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그것을 위해 긍정적인 마인드와 적극적인 행동은 필수인 것이다. 이 책은 그에 대한 합리화 과정과 그 필요성을 가장 잘 적시한 책이다. 비록 성공한 자의 이야기일 수 있어 거리감이 있고, 성공하기 위해 겪어야 했던 것들 중 상당수가 빠져 있더라도 그런 것들은 앞으로 성장하면서 경험하게 될 사항들이다. 어른이란 것이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모험에 찬 인생을 산다고 성공할 것이란 이야기는 젊은 세대 역시 믿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인생의 가치를 다시 한 번 일깨워야 한다는 것이다.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것은 성공을 위한 최고는 아니지만 최소한의 덕목이란 사실 말이다. 그래야 결코 인생에서의 실수와 실패는 있어도 포기는 없을 수 있다. 아무도 포기하고 싶지 않기에, 성공하고 싶기에, 최소한의 덕목 하나는 확실히 갖고 이 세상을 산다면 좀 더 나은 삶을 이룰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것이 이 책이 젊은이들에게 던져주는 메시지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