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로 만나는 치유의 심리학 - 상처에서 치유까지, 트라우마에 관한 24가지 이야기
김준기 지음 / 시그마북스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기 힘든 경험으로 인해 입은 마음의 상처는 잊혀지지 않는다. 그러나 많은 이들은 그것이 시간이 지나면 잊혀질 것이라고 기대하며 또한 그렇게 외면한다. 타인의 상처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자신의 상처까지도. 하지만 어쩌면 그런 생각은 망상일 뿐이다. 단순히 외면하고 살 뿐이다. 하지만 그런 외면은 어떤 것을 해결해 줄 수 있을까? ‘치유의 심리학’은 이런 기본적인 질문을 던지며 진행되는 영화에 관한 Essay다.
  Trauma, 전에 듣지 못한 단어다. 혹시 영어 단어를 외울 때 봤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과거의 아픈 시간처럼 이 단어는 내 머리 속에 담겨 있지 않다. 생소하지만 매우 중요한 이 단어는 이제 우리가 맞서야 할 단어가 됐다.
  인간의 관계가 허물어진 현대란 시간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들은 자생 능력을 넘어버린 아픈 기억과 경험들에 힘들어 한다. 그래서 인간은 비정상적인 상태에 머물며, 비정상적인, 혹은 비사회적인, 심지어 반사회적인 행동까지 하게 된다. 그것이 자신의 어두운 경험과 비극 속에서 빚어진 것이기에 자생력을 통해 극복하기엔 너무 힘든 것이다.
  어쩌면 도시 속에 살면서 이 질병은 더욱 커진 것만 같다. 도시적 삶이 풍요로움을 베풀어 줬을 수도 있지만 인간적 관계의 파편화와 고독, 그리고 소외를 낳고 말았다. 그 속에서 타인에 의해 상처를 입을 확률은 높아졌고 실제로도 그런 상처는 많이 발생한다. 또한 우리들이 의례히 그렇다고 믿었던 시간과 공간에서의 폭력성들은 의식하지 못한 Trauma를 계속 양산하고 있다. 그런데 사람들은 혼자 있게 되고 혼자 모든 것을 치료해야만 한다. 하지만 치료법을 알리 없는 수많은 사람들은 이 정체 불명의 Syndrome에 고민하고 있고 지금도 고통을 갖고 살아가고 있다.
  이런 인간적인 Trauma를 수많은 영화들이 보여주고 있다. 저자 김준기는 영화들 속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Trauma를 주모했다. 그는 영화가 오락이나 예술적 영역에만 머물지 않고 인간의 심리적 특성을 표현해주는 뛰어난 도구임을 입증하고 있다. 또한 그런 영화들 내부의 인간적 고뇌를 심층적으로 분석, 영화를 통한 인간 본연의 문제와 그 상처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리고 인간에 대한 이해는 물론, 의사로서의 그의 위치는 치료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영화가 치료의 가치를 갖고 있다는 것은 예증한 책이다. 아마도 사람들이 영화를 보면서 느꼈던 감정이나 감동도 어쩌면 그런 Trauma를 겪고 있던 상황에서 자신의 심리와 마음, 그리고 과거의 경험을 투영하고 있는지 모른다. 어쩌면 현대인치고 인간적 Trauma가 없는 이는 없을 것만 같다. 그러기에 우린 영화를 보려고 했는지 모른다. 자신의 마음을 이해해 줄 수 있는 영화를.
  저자는 그런 우리들의 감상을 한 단계 더 뛰어넘기를 바란다. 치유를 위한 의사로서뿐만 아니라 자신의 문제의식에 정면으로 대응하기를. 공포감에 사로잡힌 체 외면하기를 치료 방법으로 선택한 사람들은 언제나 세상에 대한 문을 닫고 Cool한 척, 무관심한 척 지내고 있다. [여자 정혜]에서 볼 수 있는 무덤덤한 인간들이 사실은 우리 주변에 있을 수 있고, 어쩌면 우리 자신인지 모른다. 문제는 그런 방식이 과연 우리들의 인생에 어떤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 하는 것이다. 그런 방식은 저자가 해석한 수많은 영화에서 보듯 불행이다. 그런 것들에서 벗어나지 못한 체, 그냥 그렇게 살고 있는 것이다. 외면은 치유가 아닐 뿐이다. 이를 위해 저자는 주변인들의 도움을 요청한다. 의사일 수도 있지만 마찬가지로 긍정의 힘이 강조된다. 또한 가족의 가치도 역설된다. [포레스트 검프]에서 보듯 자신의 긍정은 IQ 두 자리 숫자의 기적을 만들었고 [미스 리틀 선샤인]에선 다시 회복한 가족의 힘을 엿볼 수 있다. Trauma가 자신의 힘만으론 어쩔 수 없다면 주변의 요청은 매우 긴요한 것이다.
  치료를 위해 이야기된 수많은 요소들은 지금까지 있어왔지만 미래에도 계속 존재할 가능성이 많다. 다행히 그 치료법 역시도 계속 진화할 것 같다. 그러나 그런 진화와 맞물려 가장 중요한 것은 외면이 아닌 용기인 것 같다. 아마도 나 자신에게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의욕이 없이 살아간 내 모습을 반추해보고 뭔가 새로운 일을 하기 위해 외면이 아닌 도전을 통해 나 마음 어느 구석에 있을 Trauma를 극복하는 일이야말로 내 인생의 행복을 만드는 가장 좋은 길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