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의 오토바이
조두진 지음 / 예담 / 2009년 6월
평점 :
품절


  현실이 냉혹하다는 것은 을씨년스런 노조들의 플래카드를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힘든 시절의 수준이나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잘 모르지만 어제나 오늘, 그리고 미래 역시 힘겨워하는 우리들이 있을 것이다. 다만 그런 어려움을 맨몸으로 버텨낸 책임지는 가장들 덕분에 어린 시절을 보낸 많은 사람들은 그나마 어려움과 고통을 수월하게 통과했다. 아마 그런 관계와 그 고마움을 이야기하기 위해 ‘아버지의 오토바이’란 소설이 쓰였을 것이다.
  소설에서의 배경은 차갑고 쓰디쓰다. 아버지의 사고를 담당하는 경찰의 시선은 자식까지도 혐의를 두는 그런 냉혹한 모습이었고 아버지의 친구인 장기풍의 모습은 부정적이기 그지 없다. 그들은 어느 집안의 가장이었지만 1차 집단을 위해 2차 집단의 살벌한 경쟁에 뛰어든 자들이라서 그런 것인지 세상에 대한 경쟁의식과 의심을 버리지 못 했거나 차라리 포기한 그들이었다.
주인공이라고 해야 할 엄씨 부자는 서로 다른 별에 사는 사람들처럼 멀리 있었다. 지리적인 공간뿐만 아니라 서로 연락하기엔 너무 먼 관계만을 지니고 있는 부자였다. 그래서인지 사건이 터진 다음에야 비극적인 만남을 갖게 된 이 슬픈 부자는 그러나 아비의 죽음 앞에 눈물을 흘리기 힘든 아들만 남겨놓고 말았다. 그들은 그냥 호적 상의 가족일 뿐이었다.
  아버지의 죽음이 갑작스레 왔을 때 스스로의 경제적 상황의 위기로 심신이 지친 아들은 남들이 그렇게 하는 것처럼 뒤처리 하려고 아버지가 경제활동을 했고 또 자신의 생활을 꾸렸던 곳으로 찾아 왔다. 전화 상으로 짧은 대화만 했던 두 사람은 이제 더 이상 현실에서 이야기를 나누지 못하는 부자로만 남았다.
  망자를 위한 형식적인 의식을 치르는 동안 듣게 되는 아버지의 또 다른 모습은 엄시헌이란 아들에겐 전혀 알려지지 않은 것들이다. 또 다른 아버지의 모습에 당황했고 그런 행동을 할 수밖에 없었던 아버지의 그늘에 새삼 감격해갔다. 하지만 그런 모습을 보이기에 너무나 컸던 자식에 대한 아버지의 애정을 아들을 살아 생전 알 수 없었기에 그들간의 이별은 너무 비극적이었다. 아마도 소설은 너무 담담한 어조로 썼기에 그 슬픔의 강도는 약했을지 모르지만 그 숭고함은 결코 우리 마음을 비켜가지 못했다.
  아버지는 강해야 한다. 그래서 사회 생활을 냉혹하게 살아야 한다. 그러나 그 어느 아버지도 냉혹으로 인해 벌어지는 스트레스를 처자에겐 보이려 하지 않았다. 누군가 그것은 바보 같은 짓이라고 비웃을지 모르지만 아버지의 엄숙한 책임은 가족의 행복이다. 그 행복을 깰 짓들을 할 잔인한 아버지는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법이다. 그래서 집 안과 집 밖에서의 아버지는 달라야 함은 남자의 숙명이다. 이것을 포기한다면 그 순간 아버지의 책임을 저버리고 그에 따른 가족의 고통을 만들어 낼 뿐이다.
  아버지는 강해야 한다. 약해서는 안 된다. 약한 순간 자기만의 희생으로 끝나지 않기 때문에 그들은 치욕도 감수했고 사회 생활에선 남성성을 포기하고 노예근성이든 범죄자 모습이든 어떤 짓이든 가리지 않았다. 그것이 남자들이 배운 남자답게 사는 법이고 아버지 되는 법이다. 이것을 이해할 수 있을 때는 아버지가 되는 길일 뿐임을 인생을 살면서 느끼는 것이다.
  소설은 너무 슬픈 서사를 갖고 있다. 당연하지만 외면했고 외면하다가 소설에 의해 일깨웠기에 더욱 가슴 아프다. 우리 아버지는 너무 늙었다. 그 나이든 모습이 단순한 자연적 변화만은 아님을 경험을 통해 알게 된다. 그래도 강해지려는 아버지를 볼 때마다 가장은 그래야 한다는 것을 지금도 배우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