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로와 함께 강을 따라서
에드워드 애비 지음, 신소희 옮김 / 문예출판사 / 2004년 4월
평점 :
절판


웰빙(well-being)이라는 말이 넘쳐나고 있다.  이 신조어에 시대가 휘둘리고 있는 듯 하다.  그런데 한동안 잘 먹고 잘 살기, 즉 물질적 풍요를 통한 유족한 삶 향유라는 뜻으로 이 용어가 쓰여지더니 요즘은 일상의 번잡한 굴레에서 벗어나 느림과 하강, 생태적 삶 실현 등 정신적 가치를 지향하는 생활 양식으로까지 의미 범주가 확장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소로의 삶과 내면세계를 벤치마킹 하고자 하는 에드워드 애비의 <소로와 함께 강을 따라서>는 트랜드에 부합하는 저작이라 할만하다.  인위가 아닌 유유자적한 삶, 강물과 더불어 혼연일체가 되어 자연에 의탁하는 모습 등에서 이러한 경향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애비를 따라 읽으며 소로를 함께 강을 내려가다 보면 웰빙이라는 시대의 유행이, 우리의 지향이 얼마나 지적 허영인지, 정신적 사치인지 금방 깨닫게 된다.  부대끼며 살아내어야 하는 실천적 삶이 아닌 상징으로서 우리가 그것을 좇아가고 있었다는 것을 절감하게 된다.  시대가 만들어낸 몽상에 사로잡혀 있는 것이다. 

자연에 순응하며 사는 생태적 삶은 그렇게 편안하고 만만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자연계의 냉혹한 법칙이 예외 없이 지배하는 조야하고 불편한 것이다.  애비 가족이 살았던 애리조나주 투산의 집 주변처럼 멧돼지가 내려오고 전갈과 방울뱀이 집안까지 들어오며 모래 먼지가 뒤덮는 야성적인 공간에서 살아내어야 하는 것이다.  아무 보호막도 없는 상태에서 나약한 인간이 고스란히 온몸으로 버텨내어야 할 따름인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인간들은 애완용으로 길들여진 집개와 같은 존재에 지나지 않는다.  안락과 평온을 탐하는 통속적인 자들이다.  그런 우리가 코요테가 출몰하는 야생에서 무방비로 지내기란 너무도 두렵고 힘겨운 것이리라.  아니 사실상 불가능한 일일 것이다.

통속적 의미로서의 웰빙(well-being)이라는 상징적 관념에 빠져 대책 없이 느림과 하강과 생태적 삶을 지향하는 요즘의 유행을 읽는 함의를 얻을 수 있는 대목이다.  애비의 삶에 비추어보자면 많은 부분 그것은 몽환이요 아편이자 정신적 유희인 것이다. 

진정한 생태적 삶은 안락과 평온을 얻으려고 해서는 실천되지 않는다. 그것은 애리조나 투산의 척박한 환경속에서도 절망하거나 자기 연민-천박한 슬픔-에 빠지지 않고 의연히 나무를 심으며 후일을 기약하는 야성의 삶을 살았던 애비와 1세기 전 콩코드 숲에서 지난한 불편을 오히려 축복으로 여기고 기꺼이 받아들였던 소로우에게나 가능한 것인지 모른다.  이문재 시인의 말-나는 생태주의자가 되지 못할 것이다-처럼 아마도 나는 야생의 삶을 살지 못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