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권력, 지식인 - 김호기 사회비평집
김호기 지음 / 아르케 / 2002년 8월
평점 :
품절


지식인은 자신과는 상관없는 일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그 진행 및 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칠 독자적인 견해를 꾸준히 제시하는 자이다. 김호기도 이런 지식인상에 걸맞게 참여적 글쓰기를 통하여 다양한 사회적 이슈들에 대한 나름의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 이번 저작은 그 결과물을 엮은 것이다.

김호기의 이번 책에서 특히 눈길을 끄는 부분은 제3부 '한국 지식인과 지식 사회의 구도'이다. 이는 2000년에 발간된 윤건차 교수의 『현대 한국의 사상 흐름』을 능가하는 의미 있는 시도라고 생각한다. 윤건차 교수가 다소 무리하다 할 정도로 학자들의 이념적 성향을 세분하기만 하여 사상적 지도를 그리는데 그쳤다면 김호기는 분류의 그물 망은 넓게 하면서도 -진보, 중도, 보수로 3분함- 분류의 근거를 이론적 배경부터 저자와의 사적인 관계 및 교유 범위까지 다양하게 제시하여 일반화할 수 있는 수준의 지형 구분을 시도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분류 대상 학자들의 주요 학문적 성과들까지 개괄적으로 소개하고 있어 이론의 섭렵 및 이를 통한 지적 호기심 충족까지 가능케 해주는 미덕도 발휘하고 있다.

그러나 김호기의 이번 저작에서는 몇 가지 문제점도 눈에 띈다. 결정적으로 내용의 다양성에 비해 주제의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이다. 비판 사회 이론과 시사 칼럼을 모은 1,2부와 지식인의 이념적 구도와 그들의 저작에 대한 논평 및 관련 대가(大家)와의 인터뷰를 묶은 3,4,5부가 겉돌고 있는 것이다. 한마디로 시사 평론집도 아니고 학술 논문집도 아닌 그저 그런 개인 문집에 지나지 않는 감이 든다. 지식인으로서 다양한 분야에 대한 관심 표명과 이에 대한 의견 개진이라는 점에서는 이해가 되나 한 권의 책으로 엮기에는 연관성이 떨어지는 산발적이고 단편적인 주제의 글들을 병렬하고 있어 명료하게 초점이 모아지는 완성도 있는 저작이라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이다.

또 하나는 대중적 글쓰기를 의식해서인지 개념에 대한 명확한 규정 없이 안이하게 접근하고 있는 부분이 더러 보인다는 점이다. 이를테면 문명의 개념에 관한 것 등에서 말이다. 너무 모호하고 의미 없게 언어적 표현에만 치중한 느낌이 들게 개념 규정을 하고 그 뒤에는 그 개념에서 비롯된 거대 담론을 당연한 듯 풀어나가고 있어 주객이 전도된 감이 든다는 것이다. 이는 글의 품격에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시사 논평은 따로 독립된 책으로 묶고 이번에는 제3부에서 제5부까지 만을 떼어 지식인의 이념적 구도를 나누어보는 시도로 한정했더라면 일관성 있고 품격 있는 유의미한 저작이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 경우 제3부의 5장 '제3세대 지식인 대망론'을 결론으로 배치하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