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대 안에는 삶의 기본적인 의미가 담겨 있다. 환대의 개념은 주는 행위보다 받는 행위에 대한 비중이 더 크다. 받는다는 행위에는 겸손과 감사의 능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인간에게 큰 도전이다. - P27

건전한 세상에서는 다른 사람의 보답을 받아들이는 것 역시 균형과 상호 존중을 위해 갖추어야 할 인간의 신성한 의무다. - P27

집으로 초대하기, 선물 주고받기, 호의 베풀기와 같은 관습은 삶을 의미 있게 만들지만, 대인 관계가 큰 역할을 하지 않는 사회에서는 그리 중요하지 않을 것이다. 반면 보편적인 국가 제도가 존재하지 않는 작은 규모의 사회에서는 작은 선물과 보답의 선물이 사람들을 한데 묶고 사회적 결속력을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포괄적이고 보편적인 감사의 빚을 서로서로 지고 있는 것이다. - P31

온전한 인간으로 성장하려면 권리와 의무가 가득 찬 친밀한 관계가 필요하다. - P33

위기가 닥쳤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두려움과 불안감을 공유할 수 있는 사람, 당신의 약점과 취약성을 존중하고 이해해줄 수 있는 사람이 곁에 있느냐다. - P3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복음의 내용은 똑같은데 그것을 말로 전달하는 사람이 달라질 때마다 내용도 조금씩 달라진다. 모든 이야기는 모든 사람에게 조금씩 다르게 읽히기 때문이다. - P49

이 조그만 ‘네보의 푸른 책‘ 역시 그럴지도 모른다. 어쩌면 엄마와 나는 우리가 겪은 사실을 서로 다른 방식으로 쓰고 있는지도 모른다. - P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기체들은 모든 사람, 모든 사람들 사이 그리고 그들과 함께 할 때 존재하며, 그로부터 우리는 삶의 충만함을 얻고 더 큰 생태계에서 존재할 수 있다. - P22

차이가 없다면 무엇도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것은 시간의 흐름과 함께 변화한다. 이는 인간이 관계의 존재임을 암시한다. - P22

물건은 관계 형성을 위한 구실에 불과하다. 물건의 가치는 사람들 사이에 다리를 놓을 수 있는 잠재력에 있다. - P23

세상에는 음식을 나눠 먹음으로써 가족이 되는 곳도 있다. 이렇게 맺어진 관계는 유산을 물려주거나 불구덩이에서 구해주는 의무로 이어지지 않지만 음식을 공유함으로써 발생하는 지속적인 헌신으로 이어지긴 한다. ‘내가 너에게 호의를 베풀었으니 너는 내게 보답할 의무가 있다‘는 암묵적 관계 속에서 음식은 매끄러운 윤활유이자 사람들을 연결하는 끈끈한 접착제다. - P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건 종말 이후로 또 하나 달라진 점인데, 사람이 없고 라디오와 스냅챗과 페이스북이 없으니 나는 일상의 모든 곳에서 사람의 감정을 느낀다. 감자밭은 따뜻한 봄날에 다정하다. 집은 잔뜩 짜증을 내며 지붕에 구멍 하나를 더 냈다. - P43

날씨는 괴팍하고 신뢰할 수 없는, 그러면서도 한시도 자기 손아귀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연인 같다. 별것 아닌 일에도 화를 내는 그런 남자. - P4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선으로부터,
정세랑 지음 / 문학동네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추악한 시대를 살면서도 매일 이름다움을 발견해내던 심시선. 그녀로부터 비롯된 후손들의 당당한 삶이 부럽다.
기억하지 않고 나아가는 공동체는 있을 수 없다는 작가의 말이 오래도록 남을 것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