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희야, 너의 이 굵은 다리로는 누구보다도 단단하게 진흙을 이길 수 있고 이 두꺼운 팔로는 누구보다도 벽돌을 많이 들어옮길 수 있으니 그게 다 너의 복이란다. - P19

그리고 바다를 보았다. 갑자기 세상이 모두 끝나고 눈앞엔 아득한고요가 펼쳐져 있었다. 곧 울음이 쏟아질 것처럼 가슴이 울렁거렸다. 그녀는 옆에 있는 바위 위에 털썩 주저앉았다. - P49

그녀는 언젠가 다시 고향에 돌아간다면 사람들에게 자신의 눈으로 직접 목격한, 믿을 수 없을 만큼 큰 물고기와 마을의 저수지보다 수십 배 더 넓고 거대한 바다에 대해 얘기를 들려줘야겠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예나 지금이나 소망을 이루기란 어려운 법, 그녀의 인생에서 그런 날은 영영 오지 않았다. - P50

그녀는 이제 자신이 어디론가 다른 세계로 건너왔으며, 따라서 앞으로 펼쳐질 인생도 이전과는 다를 거라는 것을 깨달았다. - P55

그것은 그녀가 이제 막 건너온 세상의 법칙이었다. - P56

어린 나이답지 않게 금복에겐 사람을 설득하는 힘이 있었다. 그것은 그녀가 가진 특별한 능력 가운데 하나였다. - P58

그러나 물화(物貨)의 덧없음이여! 생선장수가 그 모든 것이 한낱 허상임을 깨닫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시간은 모든 것을 바꾸어놓게 마련이다. - P60

몸길이만도 이십여 장(丈)에 가까운 고래는 등에 붙어 있는 숨구멍으로 힘차게 물을 뿜어냈다. 분수처럼 뿜어올려진 물은 달빛 속에서 은빛으로 눈부시게 흩어졌다. 그녀의 배 한복판에서 뭔가 뜨거운 것이 치밀어올랐다. 그것은 죽음을 이겨낸 거대한 생명체가 주는 원초적 감동이었다. - P65

걱정은 뭐든지 쉽게 생각했으며 바로 다음날 닥쳐올 일조차 걱정하지 않았다. 불행히도 그의 뛰어난 육체적 능력은 그를 매우 단순한 사람으로 만들어버리고 말았던 것이다. - P71

금복은 세상이 그렇게 간단치가 않다는 걸 이미 잘 알고 있었다. - P71

그녀가 진정 사랑한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바로 그녀를 불안하게 만드는 그 단순한 세계였다. 그녀는 그의 육체를 신뢰했으며 그 거대한 존재 안에서 깊은 안도감을 느꼈다. 그래서 행복했다. - P7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생을 살아간다는 건 끊임없이 쌓이는 먼지를 닦아내는 일이야. - P10

‘죽음이란 건 별게 아니라 그저 먼지가 쌓이는 것과 같은 일일 뿐 - P11

멀리서도 유난히 눈에 띄는 것은 건물들 사이로 우뚝 솟은 극장이었다. 그것은 마치 커다란 고래가 깊은 바다 속에서 숨을 쉬기 위해 막 솟아오른 것처럼 보였다. - P16

날 때부터 그저 목구멍에 풀칠하는 것을 오로지하여 살아온 그들이었으니 따로 인정이나 동정심 따위가 있을 리 없었다. - P29

그들은 노파의 말을 믿지 않을 수가 없었다. 자신의 목숨까지 내던지며 지킬 만한 것이 세상에는 없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 P3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배려 윤리학은 부채와 의무의 개념을 인정한다. 그러나 부채와 의무가 전통적 도덕 이론들처럼 주도적인 사고방식의 틀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 P9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러한 인식을 부담이 아니라 즐거움이라고 말하는 것은 아마도 우리 자신에게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하는 것일 테다. 그 사람에게 유대감을 느껴서 내가 그에게 다가가고 또 그가 나의 시선을 잡아당긴다고 말하는 게 정확하겠다. - P83

남들에게 미소 짓는 것, 남들을 위해 문을 열어주는 것, 상대방이 어려운 입장에 있을 때 사소한 방식으로 도와주는 것, 사람들에게 자그마한 선물을 건네주는 것 등은 때로는모르는 사람과 세상을 공유하는 방식이다. - P83

그는 이렇게 썼다. "자존감의 가장 단단한 기반은 윤리적 생활을 영위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이세상을 더 좋은 곳으로 만들기 위하여 최대한의 노력을 경주하는 삶이다." - P84

남들과 세상을 공유하겠다는 긍정적인 감정의 도덕의식을 갖고 있는 사람은 그것을 부담 혹은 지불해야 할 부채로 여기는 사람보다 더 도덕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높다. - P85

도덕은 때때로 부담스럽고 또 괴롭기까지 하다. 그렇지만 우리가 다른 사람의 얼굴을 살펴봄으로써건, 상식적 예의를 통해서건, 기타 무수한 연결 관계를 통해서건 남들과 공유하는 마음에서 도덕적 행동을 한다면 우리의 도덕적 활동은 우리 자신이나 주변 사람들에게 더욱 풍성한 결과를 가져다줄 것이다. - P86

길리건은 이렇게 논평했다. "여성의 심리는 대인관계와 상호의존을 크게 강조하는 쪽으로 움직이는 특징이 있다는 사실이 일관되게 발견되었다. 이것은 여성들이 좀 더 맥락을 중시하는 판단력과 남다른 도덕적 이해를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성이 자아와 도덕에 대하여 다르누개념을 갖고 있음을 고려할 때, 여성은 생활 주기에 다른 관점을 제시하고 또 다른 우선사항에 입각하여 경험을 정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89

우리는 언제나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있고, 그들과 함께 이 세상을 헤쳐나간다. 헬드에 의하면 제대로 된 도덕 사상이라면 반드시 이런 사실을고려해야 한다. 그래서 헬드는 이렇게 주장한다. "우리가 가족, 사회,역사의 맥락 속에 놓여 있다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사실이다." - P91

칸트에 의하면, 우리는 정언명령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 우리 주위에 누가 있는지, 우리의 생활을 공유하는 사람이 누구인지 등은 중요하지 않다. 우리의 의무는 우리가 살고 있는 특정한 세계와 분리되어 있다. 우리가 처해 있는 상황이 정언명령을 만들어내는 원재료가 된다. - P9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학자 에런 제임스Aaron James가 전문 용어로 말한 것처럼 어떤 사람들이 때때로 개자식 노릇을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같은 제목(개자식)을 가진 책에서 제임스는 이렇게 말한다.
"자기 자신이 특별한 자격을 가지고 있어서 대인관계에서 특별한이점을 언제나 차지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 다른 사람들의 불평에 전혀 귀를 기울이지 않는 남자, 그는 개자식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 P78

사이코패스는 도덕적 감정이 전혀 없는 반면에 개자식은 자신의 도덕적 권리를 아주 민감하게 의식한다. - P79

개자식이 사람들을 돌아버리게 만드는 것은 "그가 아주 기본적이면서도 도덕적으로 중요한 방식으로 남들을 인정해주지 않는다는 점" 때문이다." 개자식은 오로지 자신의 생활만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남들의 존재, 생활, 계획은 전혀 중요하지 않다. 그는 자신을 우주의 중심이라 생각해서 상식적 예의를 제공하거나 인정해야 할 필요를 전혀 느끼지 못한다. - P79

의무 사항이 있는 곳에는 부채가 있다. 부채가 있는 곳에서 그 부채를 갚지 못하면 죄책감을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수치심을 느낄 수도 있다. - P81

내가 상대방의 얼굴을 쳐다볼 때, 그 얼굴을 진정으로 바라보게 될 때, 나는 부담감 때문이 아니라 공통성, 유대감, 동류의식(우리가 같은 종류의 사람이라는 사실을 명심하는 것) 때문에 그 사람의 존재를 인정한다. 상대방이 나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마땅히 완수해야 할 의무감 때문이 아니라, 이 세상을 나와 함께 공유하는 인간이라는 점, 내가 인정하고 도와주어야 할 사람이라는 점 때문이다. - P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