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농부의 농사 이야기 - 행복을 일구는
조우상 지음 / 치우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아직 남아있는 시간이 더 많다고 믿는 인생이지만, 지금까지 평생을 도시에서만 살아온 내게도 흙을 일군다는 것은 '로망'으로 가슴 한구석에 있다. 하루종일 종이나 뒤적이고 PC 키보드나 마우스를 만지작거리는 것으로 제 소임을 다하는 하얀 손을 가진 주제에 호미, 낫, 쇠스랑을 제대로 건사할 수나 있을지 의문인 채 말이다. 남자들이란 나이를 먹어 가면 본능적으로 자연이 그리워지는 법이라고 한풀 꺾인 술자리에서 목청을 돋구는 한 녀석의 말에 저마다 마음 속으로 고개를 끄덕이는 친구들처럼 나도 나이를 먹어 가는 모양이다.

 

이 책의 지은이는 자신을 '젊은 농부'라고 소개하고 있다. 그는 도시를 떠나 가족과 함께 흙과 더불어 살아가는 생을 시작했다. 무작정 귀농이 아니라 자연 그대로의 힘만으로 온전히 작물을 키우고 거두는 '조화로운 삶'을 선택한 것이다. 그는 초보 농사꾼인 동시에 환경 문제에도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환경 운동가이다. 그런데, 이 책에서 그가 이야기하는 것은 어떤 거대담론이 아니라 생활 속의 작은 실천에 대한 것이다. 그는 세상을 변화시키는 힘은 시스템이 아니라 확고한 개인 의지의 각성이라고 믿는다. 성공적이고 완벽한 결과가 세상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크고 작은 시행착오가 이어지는 실천과정과 그 의지가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반듯한 생각의 소유자이다.

 

도시에서 자란 지은이가 농부로서 새로운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배워야 할 것 투성이였다. 시골 집에서 살자니 간단한 집 수리에 대한 지식도 필요했고, 필요한 도구 중 일부만이라도 스스로 만들어 사용하려고 하니 각종 공구 다루는 법도 익혀야 했고, 무엇보다 농사 그 자체에 대한 기술을 배워야 했다. 부지런히 책과 씨름하고 선배 농부들을 스승 삼아 옆에서 보고 듣고 익혔다. 이렇게 습득한 지식을 정리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조금씩 농사꾼으로 성장해 나갔다. 그는 이러한 자신의 경험을 혼자만 갖고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 나누기 위해 인터넷 '딴지일보'에 '젊은 농부의 농사이야기'라는 제목으로 글을 올렸고 이 책은 그 연재물이 바탕이 된 것이다. 씨앗을 독점하고자 하는 다국적 종묘회사들의 음모와 같은 약간 무거운 주제도 있지만, 어설픈 초보 농군의 좌충우돌 사연들이 흥미로워 재미있게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