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을 읽다 1980-2010 - 세계와 대륙을 뒤흔든 핵심 사건 170장면
카롤린 퓌엘 지음, 이세진 옮김 / 푸른숲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80년에서 2010년까지 30년은 현대 중국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공산혁명 후 오랜 기간을 둘러친 '죽의 장막'이 열리고, 이 시기 중국은 고립에서 벗어나 산업부문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함으로써 세계화의 흐름에 성공적으로 진입하였다. 개혁, 개방의 세월은 중국인들의 의식도 근본적으로 바꾸어 서구세력에게 느꼈던 피해의식이나 열등의식을 떨쳐 버리고 '대국'으로 '굴기'하겠다는 야망을 노골적으로 표출하고 있다.
 
이 책은 중국에서 체류하면서 개혁, 개방의 여정을 고스란히 지켜 본 저자가 1980년 '덩샤오핑'의 개방정책부터 2010년 'G2의 시대'까지 중국과 세계를 뒤흔든 170개 사건을 연대기 순으로 정리한 것이다. 이를 통해 중국대륙을 움직이는 원칙과 중국인의 속마음을 들여다 볼 뿐 아니라, 미래의 중국을 예측할 수 있는 핵심 키워드를 분석해내었다. 이 방대한 작업을 하면서 지은이는 "서구 저널리스트이자 급격한 변화를 지켜본 목격자로서 오늘날의 중국에 판단의 잣대를 들이대기보다는 명백한 사실들을 전달하고자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서문에서 지은이는 역사적 사건을 통해 중국을 이해하는 두 가지 통찰을 제시한다. 하나는 문명의 중심이자 절대 강대국이었던 '중화대국의 명성을 되찾겠다는 강한 집념'이고, 다른 하나는 중국 당국이 빈곤이나 인권 문제보다도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 공산당의 권력 유지이기 때문에 모든 정책이 '안정'을 최우선으로 두고 추진된다는 점이다. 저자는 이러한 두 가지 관점을 바탕으로 개혁, 개방의 매 단계마다 이러한 핵심원칙이 어떻게 변형되어 적용되었고 그 결과가 어떠했는지를 밝히고 있다.

 

제1부 '덩샤오핑, 백 년 후 중국을 기획하다'에서 다루는 1980년대는 덩샤오핑의 주도하에 처음으로 개혁, 개방의 물결이 일어난 때이다. 지식인과 대학생들은 정치 개방의 희망을 품지만, 개혁파와 보수파의 이데올로기 투쟁은 아직 끝나지 않고 1989년 '텐안먼 사태'로 갈등이 표출된다. 텐안먼 이후 한 동안 중국은 퇴행이 두드러진다.

 

제2부 '중국, 세계 자본주의와 충돌하다'의 1990년대는 중국이 경제적으로 크게 도약한 시기이다. 두 번째 개혁의 바람도 '덩'이 일으키고 집단지도 체제의 수장 '장쩌민'과 '주룽지'가 주도한다. 차츰 전제주의에서 벗어나 '하이브리드' 정치체제를 갖추고, 계획경제에서 벗어나 시장경제를 도입하며 세계화 추세에 발맞추게 된다. 이 과정에서 사회 전체가 큰 변화를 겪지만, 정치와 행정은 여전히 권위적이고 엘리트가 주도하는 중앙집권성이 강했다.

 

2000년대를 다른 3부 '화평굴기'는 중국 역사상 처음으로 외세의 개입 없이 순수한 자기 의지로 본격적인 세계화를 추진한 시기에 중국이 국가 이미지를 관리해가는 모습을 통해 중국의 미래를 그려 보이고 있다.

 

인류 역사상 이렇게 큰 나라가 이렇게 짧은 기간에 이토록 대대적인 변화를 겪은 것은 유래가 없는 일이다. 지은이는 지난 30년이 중국의 역사는 물론 세계사에도 중요한 시기로 기록될 것은 물론, 중국의 향후 30년이 세계의 질서를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을지도 모른다고 예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