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무림고수를 찾아서 - 궁극의 무예로써 몸과 마음을 평정한 한국 최고 고수 16인 이야기
박수균 지음, 박상문 사진, 최복규 해설 / 판미동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2003년 문화일보에 연재되었던 "박수균 기자의 무림고수를 찾아서"를 모태로 탄생하였다. 지은이 박수균 기자는 학창시절 "십팔기"를 수련하여 공인 4단의 실력을 갖춘 실제 무예 수련자로 전국 방방곡곡에 숨은 열여섯명의 무림 고수를 만나, 그들의 무예와 삶과 철학을 책 속에 풀어내고 있다.

먼저 "자기를 버리다"라는 장에서는 "십팔기", "당랑권", "태극권", "선관무"의 고수 네 분을 소개하고 있다. 조선의 전통 무예인 "십팔기"를 현대에 되살린 "해범 김광석"의 수제자인 "우범용"은 몸으로는 가히 궁극의 경지에 올랐다고 평가를 받고 있는 고수인데, 현재 몸과 마음을 함께 수련하면서 지은이의 스승이기도 한 "해범"의 경지를 향해 정진하고 있다.
"당랑권"은 사마귀를 본 뜬 무술로 알려져 있다. "당랑수"라고 하는 갈고리 모양의 수형과 연속적인 손놀림, 빠른 보법 등이 특징적인 움직임이다. "이덕강"은 1940년대에 한국에 건너와 60년 넘게 수련의 길을 걸어온 당랑권 고수이자 국내 중국계 무예의 대사부이다. 그를 통해 한국으로 건너온 중국계 무예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시서화"에 모두 능숙한 "태극권"의 고수 "정민영"은 양생과 수련의 비법을 통해 부드러움 속에 강함이 숨어 있는 태극권의 진가를 보여 주고 있다.
"호압사" 주지 "원욱"은 어린 나이에 어머니를 잃고 불가에 입문한 후 수십 년간 불가의 무술을 수련한 분이다. 그는 "삶과 죽음을 초월하여 참된 자아를 발견"하는 불가의 정통 수행법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다음 "자신을 이기다"장에서는 "태껸", "초기 태권도", "태권도", "합기도", "팔괘장", "형의권", "우슈 산타", "우슈 투로", "아이키도", "대동류 유술", "거합도", "극진 가라데"의 고수 열두 분을 소개하고 있는데 특히, 흥미가 있었던 부분은 해방 직후 "태권도"의 기틀을 닦은 "청도관", "송무관", "연무관", "무덕관", "YMCA 권법부"등에 의해 형성된 "태권도"의 탄생과정과 "합기도"의 창시자 "최용술"의 일화 등이었다.

고수들에 따르면 무술은 "안으로는 나를 지키고, 밖으로는 적을 지키는 것"이자 "영혼과 육체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한다. 진정한 고수라면 무예뿐 아니라 마음까지도 다스릴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무예를 수련한 저자는 고수들과 직접 몸을 부딪히고 생각을 주고 받으며 느낀 생생한 체험을 바탕으로 그들의 무예와 삶과 철학을 보다 농밀하게 풀어내고 있다. 더불어 베테랑 사진기자에 의해 포착된 고수들의 몸놀림은 그 자체로 매우 아름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