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수길이 뭔데 난리야? - 분석 : 가로수길
TBWA KOREA 지음 / 알마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강남구 신사동 현대고등학교에서 J타워를 잇는 길.
몇 년 전부터 그 길이 심상치 않았다.
하루가 다르게 사람들이 모여들었고, 하루가 멀다 하고 독특한 가게들이 생겨났다.
여기저기 잡지에 그 길이 주인공으로 등장했고, 이곳저곳 영화에 그 길이 배경으로 등장했다.
인터넷 블로그에 "어제 가로수길에 다녀왔어요"란 제목의 글이 심심치 않게 보이기 시작했고,
지방에 사는 여학생들이 "가로수길 보러 왔어요"라며 서울로 올라오는 일이 생기기 시작했다.

이렇게 서두를 시작하는 이 독특한 책은,
'TBWA KOREA'라는 한 광고회사의 '광고쟁이'들이 '가로수길'이란 장소를 쫓아다닌 결과물이다.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들여다 보고 그 속에 투영된 트렌드를 포착하여 이미지화하는
광고 크리에이티브들의 눈에 '가로수길'이 포착된 것이다.

'가로수길이 뭔데 난리야?'라는 도발적인 제목이나,
'파워포인터'의 슬라이드를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한 책의 판형이나 디자인은
마치 광고회사의 기획서를 보는 듯하다.

독특한 책의 외양에 담긴 지은이들의 작업은
가로수길에서 만난 사람들, 그 길과 건물들, 독특한 가게와 진열된 상품,
그리고, 그 가게만큼이나 독특한 가게 주인들에 대한 스케치가 1차적인 결과물이고
'가로수길'을 화두로 삼아 우리 사회의 '변화'에 대한 광고쟁이들의 사유가
2차적인 결과물로 독자들에게 제시된다.

그들은 '분석 : 가로수길'이라는 책의 부제처럼
서울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한 '길'을 매개로 하여 한국 사회의 달라진 의식과 가치관을
광고인의 시각으로 되짚어 보고 있다.

그들은 가로수길에서 오랫동안 한국 사회를 지배해온 헝그리 정신의 종말을 보았으며,
'士'의 시대에서 '家'의 시대로 이동하는 한국 사회의 흐름을 보았다.
또한 느림과 여유를 지배하는 인간 중심의 시스템을 발견했고, 혼자 밥을 먹는 당당한 외톨이와
경제력으로 무장한 새로운 권력인 여성들을 만났다고 한다.

"과거가 효율로 대변되던 '직선의 시대'였다면 현재는 느림을 예찬하는 '곡선의 시대'다
 기능 중심의 세계에서 사람 중심의 세계로 변하고 있다"


가로수길이 이를 말해주고 있는 것이 맞는가? 현재의 대한민국이 과연 그러한가?
"가로수길은 로망이다"라는 멋진 수사 만큼이나 허망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