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덕쟁이 로봇 호시 신이치의 플라시보 시리즈 10
호시 신이치 지음, 윤성규 옮김 / 지식여행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호시 신이치의 '플라시보 시리즈'가 벌써 10권째가 나왔다.
최근에 각광받는 인기 작가의 작품도 아니고, 이미 오래 전에 발표된 작품 모음집이
이렇게 계속 나오리라 생각 못했는데, 조금은 예상 밖이다.
물론, 독자의 입장에서는 좋은 일이지만...

호시 신이치는 일본 SF 장르의 선구자격인 인물로 1926년生 이고,
1957년 SF동인지 '우주진'에 발표한 '세키스토라'가 '보석'지에 연재되면서 작가로 데뷔하였다.
1961년 발표한 단편집 '인조미인'으로 나오키상을,
1968년 '망상은행'으로 일본추리작가협회상을 수상하였고,
'Short-short Story'(초단편 소설)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여 1,000편이 넘는 작품을 남겼다.

그의 Short-short Story는 '無섹스' '無폭력' '無시사'의 3無를 내세우고,
통속성을 일체 배제하여 세계 30개국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어 출간되고,
3,000만부 이상이라는 경이적인 판매부수가 말해주듯 꾸준하게 독자들의 사랑받고 있다.

이 작품집 '변덕쟁이 로봇'은 1972년에 처음 출간되었다고 한다.
총 42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대부분은 '아사이 신문' 일요판에 발표되었고,
그 중 31편은 삽화와 함께 '변덕쟁이 로봇'이란 제목으로 어린이용으로 발간되었는데,
책의 후기에서 지은이는 '익숙하지 않은 동화를 쓰다'라는 말로 작품의 배경을 설명하였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이 작품집은 유난히 로봇, 신발명품, 외계인 등 어린이들이 흥미롭게 생각하는
소재들이 많이 등장하고 Short-short Story다운 짤막한 이야기들이 많은 편이다.

사실 그의 작품은 성인용, 어린이용의 구분이 무의미하다.
왜냐하면 그의 이야기는 독자를 계몽한다든지, 교훈을 주려고 한다든지 하는 것에서 자유롭다.
그에게 글은 재미있는 일체의 꾸밈이 없이 이야기를 전달하기 위한 하나의 도구에 불과한 듯,
담담하고도 명료하다. 그래서 국적에 관계없이 남녀노소 구별없이 쉽게 읽힌다.
그리고, 유연한 발상과 사물의 본질을 꿰뚫는 날카로운 시각으로 독자들로 하여금
상상을 뛰어넘는 세계로 인도한다.

그의 작품은 은근한 중독성이 있다.
호흡이 긴 이야기를 좋아하는 독자라면 그의 작품을 처음 대하면 대개, '뭐~ 이래'하고 느끼지만,
한편 한편 읽다 보면 별다른 이야기도 없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읽게 된다.
나 역시 '흰 옷의 남자'라는 시리즈 8권에서 그의 작품을 처음 만나,
한 권쯤은 자기 전에 2~3편씩 읽기 좋겠다는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했는데,
이 작품집까지 벌써 4권째를 보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