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을 뒤흔든 최대 역모사건 - 조선 천재 1000명이 죽음으로 내몰린 사건의 재구성
신정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창시절 국사 교과서에서 '정여립 역모사건'으로 짧게 기술되었던 '기축옥사'를 재구성한 책이다.
'정여립'이 주장한 '천하공물설(天下公物說)'과 '하사비군론(何事非君論)'등 혁신적 정치사상에 대한
좀 더 심화된 지식과 '기축옥사'의 상세 내용에 대한 관심으로 이 책을 읽었다.

지은이는 16세기 조선을 역사상 가장 불확실한 시대였고 나라의 운명이 바람 앞의 등불과 같은
시대인 동시에 맑은 밤 하늘에 빛나는 별들처럼 수 많은 천재들이 태어났던 시대라고 평가한다.
우열을 가리기 힘들 정도로 걸출한 각기 개성이 다른 인물들이 운명을 걸고 대결하였기에
천재들의 삶은 한 치 앞도 예측할 수 없는 고난의 연속이었다는 것이다.
특히, 동인과 서인으로부터 시작한 붕당정치는 이들 천재들의 공존을 힘들게 하였고,
이러한 시대상황이 필연적으로 '피'를 불러오게 하였다는 것이다. 

역사는 대개 승리자의 기록이라 패배자, 특히 실패한 혁명가에 대한 기록은 인색하기만 하다.
이에 대해 단재 신채호는 아래와 같은 말을 한다.
  
"혁명성을 가진 인물은 매양 실패로 마칠 뿐 아니라 사회에서도 그를 원망하고 미워해
 그가 한 말이나 한 일의 종적까지 없애 버림으로 후세에 끼치는 영향이 거의 0도가 되고
 오직 수백년이 지난 후 한 두사람 마음이 통하는 이가 있어 그가 남긴 말을 감상할 뿐이다"

'기축옥사'와 '정여립'에 대한 기록도 그러하다.
과연, '기축옥사'가 '천하는 공물이므로 임금의 아들이 아니라, 누구든 자격이 있는 사람이
왕위를 계승해야 한다는 정여립의 정치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실패한 혁명이었는지?
아니면, 동인을 밀어내기 위해 송익필과 정철의 각본, 연출에 따른 서인세력의 날조된 조작극인지?

이를테면 신채호는 '정여립은 이미 16세기에 군신강상론(君臣綱常論)을 타파하고자 한 혁명사상가로
서양의 '루소'에 비견되는 동양의 위인이라고 평가한 반면에,
역사학자 이병도는 '정여립은 대모략가이자 야심가 였다. 그는 대동계를 조직하여 무예를 단련하고
비기참설을 유포하여 민심을 현혹한 후 장차 대란을 일으키려 했다'고 평했다.

이렇게 평가가 엇갈리는 인물과 사건에 대하여 지은이는 성실하게 사건을 재구성하고 있다.
먼저 1부에서는 '기축옥사'와 관련한 인물들에 대한, 역사적 자료 및 지은이의 생각을 토대로
내용을 이끌어 가고, 2부는 비망록 형식으로 이 사건에 대한 학자들의 주요 논문의 내용과
지은이의 감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의 주제는 상당히 흥미롭지만, 쉽게 읽혀지는 책은 아니다.
지나치게 많은 인물을 다루고 너무 많은 자료를 인용한 때문인지, 전체적인 윤곽을 잡는 것과
집중력있는 책 읽기가 다소 힘들었다.
하지만 지은이의 진정성과 성실성을 느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